(새 문서: {{장릉배식록 수록자}} {{단어 |원제=金文起 |이미지=김문기.png |주제=인명 }} {{목차}} == 개요 == {{인게임 뜻 |뜻={{인게임 뜻/주제|인명}}조선...)
(차이 없음)

2021년 12월 20일 (월) 23:34 판

장릉배식록 수록자
육종영 안평대군 이용 · 금성대군 이유 · 화의군 이영 · 한남군 이어 · 영풍군 이천 · 하령군 이양
사의척 판돈녕부사 송현수 · 예조판서 권자신 · 영양위 정종 · 돈녕부판관 권완
삼상신 영의정 황보인 · 좌의정 김종서 · 우의정 정분
삼중신 이조판서 민신 · 병조판서 조극관 · 이조판서 김문기
양운검 도총부도총관 성승 · 증병조판서 박쟁
육신부 형조판서 박중림
사육신 우승지 성삼문 · 형조참판 박팽년 · 직제학 이개 · 예조참판 하위지 · 성균사예 유성원 · 도총부부총관 유응부
육신자 지평 하박
탁절신 좌참찬 허후 · 수찬 허조 · 증이조참판 박계우 · 순흥부사 이보흠 · 도진무 정효전 · 영월호장 엄흥도 · 증이조판서 권절 · 증이조참판 이수형
김문기
金文起
김문기.png
주제
어인정
X
길이
3
미션
-

개요

사전
〈인명〉조선 전기의 문신(1399~1456). 자는 여공(汝恭). 호는 백촌(白村). 함길도 관찰사, 공조 판서를 지냈다. 세조 2년(1456)에 단종 복위 모의에 가담하였다가 사육신과 함께 살해되었다.

"그대들은 안에서 일이 성공되도록 하라. 나는 밖에서 군사를 거느리고 있으니, 비록 거역하는 자가 있다 한들 그들을 제재하는 데 무엇이 어렵겠는가?"

- 세조실록 4권, 세조 2년 6월 8일

특징

  • '김'으로 시작하면서 '기'로 끝나는 3글자 단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