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3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분류:기타]][[분류:소설/시/희곡]][[분류:기로 시작하는 단어]][[분류:쁨으로 끝나는 단어]][[분류:끝말잇기 한방단어]]
 +
{{끝말잇기 한방단어}}
 
{{단어
 
{{단어
|제목=기쁨
 
 
|원제=La Joie
 
|원제=La Joie
|이미지=기쁨소설.jpg
+
|이미지=기쁨.jpeg
|주제=소설
+
|이미지 설명=기타
|어인정=X, O
+
|이미지2=기쁨소설.jpg
 +
|이미지 설명2=2016년 소설
 +
|주제=소설/시/희곡
 +
|어인정=X
 
}}
 
}}
 
 
{{목차}}
 
{{목차}}
 +
== 개요 ==
  
== 개요 ==
 
 
=== 주제 <기타> ===
 
=== 주제 <기타> ===
 
{{인게임 뜻
 
{{인게임 뜻
|뜻={{인게임 뜻/번호|1}}욕구가 충족되었을 때의 흐뭇하고 흡족한 마음이나 느낌.
+
|뜻=욕구가 충족되었을 때의 흐뭇하고 흡족한 마음이나 느낌.
 
}}
 
}}
  
=== 주제 <소설> ===
+
=== 주제 <소설/시/희곡> ===
2016년 니케북스를 통해 한국에 출간한 샤를 페팽 저자의 프랑스 [[소설]]이다.
 
 
{{인용문
 
{{인용문
|샤를 페팽 소설. 알베르 카뮈의 <이방인>을 리메이크한 작품이다. 알베르 카뮈의 이름을 직접 인용하지는 않았지만, 작가는 <이방인>의 시나리오를 가져와 재해석한다. 샤를 페팽은 카뮈의 작품이 다양한 해석의 재료가 된다고 확신하고 있는 것 같다. 마치 카뮈의 작품이 우리 모두가 자유롭게 해석할 수 있는 오래된 신화라도 되는 듯이.
+
| 샤를 페팽 소설. 알베르 카뮈의 <이방인>을 리메이크한 작품이다. 알베르 카뮈의 이름을 직접 인용하지는 않았지만, 작가는 <이방인>의 시나리오를 가져와 재해석한다. 샤를 페팽은 카뮈의 작품이 다양한 해석의 재료가 된다고 확신하고 있는 것 같다. 마치 카뮈의 작품이 우리 모두가 자유롭게 해석할 수 있는 오래된 신화라도 되는 듯이.
  
 
어머니가 위독한데도 기이할 정도로 기분좋게 체념의 태도를 갖고 인생의 달콤함만을 보려 하는 사내의 이야기이다. 곧 어머니가 죽고, 그는 슬프긴 하지만 애인과 밤을 보내고, 장례식에 내리쬐는 햇빛을 음미하며, 오믈렛을 만들 때 달걀을 깨는 행위에서 기쁨을 느낀다. 그의 이런 단순한 면은 한 아랍인의 공격을 받기 전까지는 아무 문제가 없었다.
 
어머니가 위독한데도 기이할 정도로 기분좋게 체념의 태도를 갖고 인생의 달콤함만을 보려 하는 사내의 이야기이다. 곧 어머니가 죽고, 그는 슬프긴 하지만 애인과 밤을 보내고, 장례식에 내리쬐는 햇빛을 음미하며, 오믈렛을 만들 때 달걀을 깨는 행위에서 기쁨을 느낀다. 그의 이런 단순한 면은 한 아랍인의 공격을 받기 전까지는 아무 문제가 없었다.
  
 
상황이 극한으로 치닫자 권총을 빼앗은 주인공은 '시야가 뿌옇게 흐려진 상태에서' 자신을 공격했던 아랍인을 향해 여러 방 쏜다. 그 사건으로 그는 재판을 받고 교도소에 갇힌다. 하지만 인생의 작은 기쁨들을 알고 있는 그는 슬픔이나 우울함에 빠지지 않는다. 얼핏 보기에 늘 기쁨에 차있는 상태가 바람직해 보일 수도 있지만 불행이나 슬픔의 감정이 배제된 그는 오히려 이 사회에서 무척이나 전복적이며 위험한 존재로 받아들여진다.
 
상황이 극한으로 치닫자 권총을 빼앗은 주인공은 '시야가 뿌옇게 흐려진 상태에서' 자신을 공격했던 아랍인을 향해 여러 방 쏜다. 그 사건으로 그는 재판을 받고 교도소에 갇힌다. 하지만 인생의 작은 기쁨들을 알고 있는 그는 슬픔이나 우울함에 빠지지 않는다. 얼핏 보기에 늘 기쁨에 차있는 상태가 바람직해 보일 수도 있지만 불행이나 슬픔의 감정이 배제된 그는 오히려 이 사회에서 무척이나 전복적이며 위험한 존재로 받아들여진다.
|알라딘 사이트의 책소개
 
 
}}
 
}}
 
+
2016년 9월에 발매된 샤를 페팽 작가의 프랑스 소설.
  
 
== 특징 ==
 
== 특징 ==
* 기로 시작하는 2글자의 단어이다.
+
* '''기'''로 시작하면서 '''쁨'''으로 끝나는 2글자 단어이다.
* 쁨으로 끝나는 [[끝말잇기 한방단어]]들 중 하나이다.
+
* 끝말잇기 [[한방단어]]이다.
 
 
[[분류: 기타]] [[분류: 소설]] [[분류: 기로 시작하는 단어]] [[분류: 쁨으로 끝나는 단어]] [[분류: 끝말잇기 한방단어]]
 

2024년 4월 2일 (화) 06:50 기준 최신판

😈 이 단어는 기로 시작하는 한방단어입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고 있는 단어는 끝말잇기에서의 한방단어로, 매너 규칙에서 사용이 불가합니다.
기쁨
La Joie
주제
어인정
X
길이
2
미션
-

개요[편집]

주제 <기타>[편집]

사전
욕구가 충족되었을 때의 흐뭇하고 흡족한 마음이나 느낌.

주제 <소설/시/희곡>[편집]

샤를 페팽 소설. 알베르 카뮈의 <이방인>을 리메이크한 작품이다. 알베르 카뮈의 이름을 직접 인용하지는 않았지만, 작가는 <이방인>의 시나리오를 가져와 재해석한다. 샤를 페팽은 카뮈의 작품이 다양한 해석의 재료가 된다고 확신하고 있는 것 같다. 마치 카뮈의 작품이 우리 모두가 자유롭게 해석할 수 있는 오래된 신화라도 되는 듯이.

어머니가 위독한데도 기이할 정도로 기분좋게 체념의 태도를 갖고 인생의 달콤함만을 보려 하는 사내의 이야기이다. 곧 어머니가 죽고, 그는 슬프긴 하지만 애인과 밤을 보내고, 장례식에 내리쬐는 햇빛을 음미하며, 오믈렛을 만들 때 달걀을 깨는 행위에서 기쁨을 느낀다. 그의 이런 단순한 면은 한 아랍인의 공격을 받기 전까지는 아무 문제가 없었다.

상황이 극한으로 치닫자 권총을 빼앗은 주인공은 '시야가 뿌옇게 흐려진 상태에서' 자신을 공격했던 아랍인을 향해 여러 방 쏜다. 그 사건으로 그는 재판을 받고 교도소에 갇힌다. 하지만 인생의 작은 기쁨들을 알고 있는 그는 슬픔이나 우울함에 빠지지 않는다. 얼핏 보기에 늘 기쁨에 차있는 상태가 바람직해 보일 수도 있지만 불행이나 슬픔의 감정이 배제된 그는 오히려 이 사회에서 무척이나 전복적이며 위험한 존재로 받아들여진다.

2016년 9월에 발매된 샤를 페팽 작가의 프랑스 소설.

특징[편집]

  • 로 시작하면서 으로 끝나는 2글자 단어이다.
  • 끝말잇기 한방단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