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class="wikitable" align="right" style="text-align:center;" |- |colspan="2" | Second quantization |- |colspan="2" | 정준 양자화 |- ! 글자 수 | 18 |- ! 분류 | <물리> |...)
 
18번째 줄: 18번째 줄:
 
|}
 
|}
 
양자장론에서, 정준 양자화란 주어진 고전 이론을 양자화하는 여러 방법 중 하나이다. 역사적으로, 이는 가장 먼저 발견된 양자화 방식이다. 여기서 "정준"이란 해밀턴역학의 심플렉틱 구조를 일컫는데, 이 구조는 이론을 양자화하여도 보존된다. [[canonicalquantization]]과 같은말이다.
 
양자장론에서, 정준 양자화란 주어진 고전 이론을 양자화하는 여러 방법 중 하나이다. 역사적으로, 이는 가장 먼저 발견된 양자화 방식이다. 여기서 "정준"이란 해밀턴역학의 심플렉틱 구조를 일컫는데, 이 구조는 이론을 양자화하여도 보존된다. [[canonicalquantization]]과 같은말이다.
[[분류:물리/영어]][[분류:S로 시작하는 단어]][[분류:N로 끝나는 단어]]
+
[[분류:물리/영어]][[분류:S로 시작하는 단어]][[분류:N으로 끝나는 단어]]

2020년 5월 23일 (토) 01:17 판

Second quantization
정준 양자화
글자 수 18
분류 <물리>
어인정 X
미션 n(3) o(2), a(2), i(2)

양자장론에서, 정준 양자화란 주어진 고전 이론을 양자화하는 여러 방법 중 하나이다. 역사적으로, 이는 가장 먼저 발견된 양자화 방식이다. 여기서 "정준"이란 해밀턴역학의 심플렉틱 구조를 일컫는데, 이 구조는 이론을 양자화하여도 보존된다. canonicalquantization과 같은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