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단어 |원제=大汗<sup>1</sup> 大旱<sup>2</sup> 大恨<sup>3</sup> 大限<sup>4</sup> 大寒<sup>5</sup> 大漢<sup>6</sup> 大韓<sup>7</sup> |주제=역사 |주제2=지명 |...)
 
3번째 줄: 3번째 줄:
 
|주제=역사
 
|주제=역사
 
|주제2=지명
 
|주제2=지명
|주제3=고사성어/숙어
+
|주제3=성어
 
}}
 
}}
 
{{목차}}
 
{{목차}}
27번째 줄: 27번째 줄:
 
}}
 
}}
  
=== 주제 <고사성어/숙어> ===
+
=== 주제 <성어> ===
 
추가 바람.
 
추가 바람.
  
34번째 줄: 34번째 줄:
 
* 훈민정음에서 'ㄷㅎ'이 나올 때 사용이 가능하다.
 
* 훈민정음에서 'ㄷㅎ'이 나올 때 사용이 가능하다.
  
[[분류:기타]][[분류:역사]][[분류:지명]][[분류:고사성어/숙어]][[분류:대로 시작하는 단어]][[분류:한으로 끝나는 단어]][[분류:북한어]][[분류:설명이 필요한 단어]]
+
[[분류:기타]][[분류:역사]][[분류:지명]][[분류:성어]][[분류:대로 시작하는 단어]][[분류:한으로 끝나는 단어]][[분류:북한어]][[분류:설명이 필요한 단어]]

2021년 8월 7일 (토) 12:17 판

대한
大汗1 大旱2 大恨3 大限4 大寒5 大漢6 大韓7
주제
어인정
X
길이
2
미션
-

개요

주제 <기타>

사전
2크게 일어난 가뭄. ‘큰 가뭄’으로 순화.3(1)커다란 원한.(2)막심한 후회. 4목숨이 있는 한도.5(1)이십사절기의 하나. 소한(小寒)과 입춘(立春) 사이에 들며, 태양의 황경(黃經)이 300도에 이른 때로 한 해의 가장 추운 때이다. 1월 20일경이다.(2)=엄한.6몸집이 큰 사나이.

예문

  • 대한 3「1」
    • 대한을 품다.

주제 <역사>

사전
1〈역사〉몽골 민족의 황제에 대한 칭호. 1206년에 칭기즈 칸에게 처음으로 이 칭호를 주었다.7(1)〈역사〉=대한 제국.

주제 <지명>

사전
7(2)〈지명〉=대한민국.

주제 <성어>

추가 바람.

특징

  • 대로 시작하는 2글자 단어이다.
  • 훈민정음에서 'ㄷㅎ'이 나올 때 사용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