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중근의사유묵동양대세사묘현유지남아기안면화국미성유강계정략부개진가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이거 재추가 예정 단어로 넣어야 하나요?)
잔글
1번째 줄: 1번째 줄:
{{재추가 예정 단어}}
+
{{끝말잇기 최장문}}
{{삭제된 단어}}
+
{{앞말잇기 최장문}}
 
{{단어
 
{{단어
 
|제목=안중근의사 유묵 - 동양대세사묘현유지남아기안면화국<br>미성유강계정략부개진가련
 
|제목=안중근의사 유묵 - 동양대세사묘현유지남아기안면화국<br>미성유강계정략부개진가련
 
|원제=安重根義士 遺墨 - 東洋大勢思杳玄有志男兒豈安眠和局<br>未成猶慷慨政略不改眞可憐
 
|원제=安重根義士 遺墨 - 東洋大勢思杳玄有志男兒豈安眠和局<br>未成猶慷慨政略不改眞可憐
 
|이미지=보물569-9호.png|이미지 크기=130px
 
|이미지=보물569-9호.png|이미지 크기=130px
|주제=고적
+
|주제=국가지정문화재
 
}}
 
}}
 
{{목차}}
 
{{목차}}
11번째 줄: 11번째 줄:
 
안중근의사유묵동양대세사묘현유지남아기안면화국미성유강계정략부개진가련(安重根義士遺墨-東洋大勢思杳玄有志男兒豈安眠和局未成猶慷慨政略不改眞可憐)은 안중근 의사가 1909년 10월 26일 만주 하얼빈 역에서 조선 침략의 원흉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를 사살한 뒤 여순감옥(旅順監獄)에서 1910년 3월 26일 사망하기 전까지 옥중에서 휘호한 유묵을 일괄ㆍ지정한 것 중의 하나이다.  
 
안중근의사유묵동양대세사묘현유지남아기안면화국미성유강계정략부개진가련(安重根義士遺墨-東洋大勢思杳玄有志男兒豈安眠和局未成猶慷慨政略不改眞可憐)은 안중근 의사가 1909년 10월 26일 만주 하얼빈 역에서 조선 침략의 원흉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를 사살한 뒤 여순감옥(旅順監獄)에서 1910년 3월 26일 사망하기 전까지 옥중에서 휘호한 유묵을 일괄ㆍ지정한 것 중의 하나이다.  
 
== '''특징''' ==
 
== '''특징''' ==
* 2017년 고적코리아일 때 최장문 4위, 안으로 시작하는 단어중 35글자로 ""으로 시작하는 최장문이었지만, 현재는 다양한 이유로 삭제되어 최장문 자리를 [[안녕햄토리햄토리와방가방가친구들]]에게 넘겨주었다.
+
* ''으로 시작하는 가장 긴 단어이다.
 +
* '사' 미션을 두 개, '가', '아' 미션을 각각 한 개씩 포함하고 있다.
  
[[분류:고적]][[분류:안으로 시작하는 단어]][[분류:련으로 끝나는 단어]][[분류:삭제된 단어]]
+
[[분류:국가지정문화재]][[분류:안으로 시작하는 단어]][[분류:련으로 끝나는 단어]][[분류:삭제됐다가 다시 추가된 단어]]

2021년 10월 10일 (일) 00:35 판

😆 이 단어는 안으로 시작하는 최장문입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고 있는 단어는 끝말잇기에서 해당 글자로 시작하는 가장 긴 단어입니다.

😆 이 단어는 련으로 끝나는 최장문입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고 있는 단어는 앞말잇기에서 해당 글자로 끝나는 가장 긴 단어입니다.
안중근의사 유묵 - 동양대세사묘현유지남아기안면화국
미성유강계정략부개진가련

安重根義士 遺墨 - 東洋大勢思杳玄有志男兒豈安眠和局
未成猶慷慨政略不改眞可憐
보물569-9호.png
주제
어인정
O
길이
35
미션
121

개요

안중근의사유묵동양대세사묘현유지남아기안면화국미성유강계정략부개진가련(安重根義士遺墨-東洋大勢思杳玄有志男兒豈安眠和局未成猶慷慨政略不改眞可憐)은 안중근 의사가 1909년 10월 26일 만주 하얼빈 역에서 조선 침략의 원흉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를 사살한 뒤 여순감옥(旅順監獄)에서 1910년 3월 26일 사망하기 전까지 옥중에서 휘호한 유묵을 일괄ㆍ지정한 것 중의 하나이다.

특징

  • '안'으로 시작하는 가장 긴 단어이다.
  • '사' 미션을 두 개, '가', '아' 미션을 각각 한 개씩 포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