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단어/추가 정보/국가지정문화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0번째 줄: 20번째 줄:
 
|원제=安重根義士 遺墨 - 東洋大勢思杳玄有志男兒豈安眠和局未成猶慷慨政略不改眞可憐
 
|원제=安重根義士 遺墨 - 東洋大勢思杳玄有志男兒豈安眠和局未成猶慷慨政略不改眞可憐
 
|이미지=보물569-9호.png
 
|이미지=보물569-9호.png
 +
|이미지 크기=100px
 
|주제=국가지정문화재
 
|주제=국가지정문화재
|인게임 단어=안중근의사유묵동양대세사묘현유지남아기안면화국미성유강계정략부개진가련
 
 
|추가 정보=
 
|추가 정보=
 
{{단어/추가 정보/국가지정문화재
 
{{단어/추가 정보/국가지정문화재
39번째 줄: 39번째 줄:
 
|이미지=보물569-9호.png
 
|이미지=보물569-9호.png
 
|이미지 크기=100px
 
|이미지 크기=100px
 +
|주제=국가지정문화재
 
|인게임 단어=안중근의사유묵동양대세사묘현유지남아기안면화국미성유강계정략부개진가련
 
|인게임 단어=안중근의사유묵동양대세사묘현유지남아기안면화국미성유강계정략부개진가련
 
|추가 정보=
 
|추가 정보=
51번째 줄: 52번째 줄:
 
}}
 
}}
 
}}
 
}}
 +
[[분류:단어 추가 정보 틀]]
 
</noinclude>
 
</noinclude>

2021년 11월 13일 (토) 13:04 기준 최신판

개요[편집]

국가지정문화재 주제의 단어 틀에 넣는 추가 정보입니다.

기입 가능한 목록으로는 분류, 수량, 지정일, 소재지, 시대, 소유자, 관리자가 있습니다.

문화재청 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예시[편집]

{{단어
|제목=안중근의사 유묵 - 동양대세사묘현유지남아기안면화국미성유강계정략부개진가련
|원제=安重根義士 遺墨 - 東洋大勢思杳玄有志男兒豈安眠和局未成猶慷慨政略不改眞可憐
|이미지=보물569-9호.png
|이미지 크기=100px
|주제=국가지정문화재
|추가 정보=
{{단어/추가 정보/국가지정문화재
|분류=기록유산 / 서간류 / [[서예]]
|수량=1점
|지정일=1972년 8월 16일
|소재지=[[서울]] [[동작구]] 상도로 369, 한국기독교박물관 (상도동,숭실대학교)
|시대=1910년
|소유자=숭실대학교
|관리자=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
}}

위와 같이 입력했을때 나오는 결과 값:

안중근의사 유묵 - 동양대세사묘현유지남아기안면화국미성유강계정략부개진가련
安重根義士 遺墨 - 東洋大勢思杳玄有志男兒豈安眠和局未成猶慷慨政略不改眞可憐
보물569-9호.png
주제
어인정
O
길이
35
미션
121
국가지정문화재 정보
분류
기록유산 / 서간류 / 서예
수량
1점
지정일
1972년 8월 16일
소재지
서울 동작구 상도로 369, 한국기독교박물관 (상도동,숭실대학교)
시대
1910년
소유자
숭실대학교
관리자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