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산디지털단지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단어
 
{{단어
 
|제목=가산디지털단지역
 
|제목=가산디지털단지역
 +
|원제=加山디지털團地驛 / Gasan Digital Complex Station
 
|이미지=가산디지털단지역.jpg
 
|이미지=가산디지털단지역.jpg
|주제=대한민국 철도역|주제2=한국 교통시설
+
|주제=한국 교통시설
 
}}
 
}}
{{목차}}
+
{{목차}}{{Clearfix}}
  
 
== 개요 ==
 
== 개요 ==
서울특별시 금천구 벚꽃로 309에 위치해있다. 역 번호는 P142, 746번.
+
[[서울특별시]] [[금천구]] 벚꽃로 309에 위치해있다. 역 번호는 P142, 746번. 아침 출근 시간과 저녁 퇴근 시간에서 가장 복잡한 역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 역 정보 ==
+
== 특징 ==
아침 출근 시간과 저녁 퇴근 시간에서 가장 복잡한 역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
* '''가'''로 시작해서 '''역'''으로 끝나는 8글자 단어이다.
 +
* 미션 글자 '''가'''를 1개 포함하고 있다.
  
이 역에 원래 이름은 가리봉역이었다. 이유는 그당시 위치가 가리봉동이었기 때문. 하지만 1980년, 이 역이 구로구에 편입되었다.
+
[[분류:한국 교통시설]][[분류:가로 시작하는 단어]][[분류:역으로 끝나는 단어]]
 
 
1호선의 경우 2000년도에 비해 약 5배 정도 이용객이 많아졌으며, 가장 많있던 해가 2014년으로, 총 5만3천명의 이용객이 이용하였다. 7호선은 2000년도에 비해 약 7배정도 늘었으며, 가장 많았던 해가 2014년으로, 총 8만1천명의 이용객이 이용하였다.
 
== 여담 ==
 
* [[대한민국 철도역]]과 [[버스터미널]]이 [[한국 교통시설]]로 통합되면서 한국 교통시설의 단어가 되었다.
 
* [[대한민국 철도역]] [[한국어단어대결|단대]]에서 많이 쓰이던 단어이다.
 
 
 
[[분류:대한민국 철도역]][[분류:가로 시작하는 단어]][[분류:역으로 끝나는 단어]][[분류:한국 교통시설]]
 

2022년 5월 1일 (일) 11:54 기준 최신판

가산디지털단지역
加山디지털團地驛 / Gasan Digital Complex Station
가산디지털단지역.jpg
주제
어인정
O
길이
8
미션
1

개요[편집]

서울특별시 금천구 벚꽃로 309에 위치해있다. 역 번호는 P142, 746번. 아침 출근 시간과 저녁 퇴근 시간에서 가장 복잡한 역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특징[편집]

  • 로 시작해서 으로 끝나는 8글자 단어이다.
  • 미션 글자 를 1개 포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