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º)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단어
 
{{단어
|제목=ㄴ다고
+
|제목=-ㄴ다고
 
}}
 
}}
 
{{목차}}
 
{{목차}}
8번째 줄: 8번째 줄:
 
|뜻={{인게임 뜻/번호|1}}{{인게임 뜻/번호2|1}} 앞 절의 일을 뒤 절 일의 까닭이나 근거로 듦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2흔히 속담과 같은 관용구를 인용하면서 ‘그 말처럼’의 뜻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인게임 뜻/번호|2}}{{인게임 뜻/번호2|1}} 해할 자리에 쓰여, 자신의 생각이나 주장을 청자에게 강조하여 일러 주는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인게임 뜻/번호2|2}} 해할 자리에 쓰여, ‘너의 말이나 생각이 이런 것이냐?’ 하는 뜻으로 묻는 데 쓰는 종결 어미. 빈정거리거나 부정하는 뜻을 나타낼 때도 있다.{{인게임 뜻/번호2|3}} 해할 자리에 쓰여, 마음속에 가졌던 어떤 의문의 답이 의외로 별것이 아니었을 때 그 의문을 그대로 보여 주는 데 쓰는 종결 어미. 의문이나 긴장 또는 걱정이 해소되었다는 뜻이 암시된다.{{인게임 뜻/번호|3}} 간접 인용절에 쓰여, 어미 ‘-ㄴ다’에 인용을 나타내는 격 조사 ‘고’가 결합한 말.
 
|뜻={{인게임 뜻/번호|1}}{{인게임 뜻/번호2|1}} 앞 절의 일을 뒤 절 일의 까닭이나 근거로 듦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2흔히 속담과 같은 관용구를 인용하면서 ‘그 말처럼’의 뜻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인게임 뜻/번호|2}}{{인게임 뜻/번호2|1}} 해할 자리에 쓰여, 자신의 생각이나 주장을 청자에게 강조하여 일러 주는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인게임 뜻/번호2|2}} 해할 자리에 쓰여, ‘너의 말이나 생각이 이런 것이냐?’ 하는 뜻으로 묻는 데 쓰는 종결 어미. 빈정거리거나 부정하는 뜻을 나타낼 때도 있다.{{인게임 뜻/번호2|3}} 해할 자리에 쓰여, 마음속에 가졌던 어떤 의문의 답이 의외로 별것이 아니었을 때 그 의문을 그대로 보여 주는 데 쓰는 종결 어미. 의문이나 긴장 또는 걱정이 해소되었다는 뜻이 암시된다.{{인게임 뜻/번호|3}} 간접 인용절에 쓰여, 어미 ‘-ㄴ다’에 인용을 나타내는 격 조사 ‘고’가 결합한 말.
 
}}
 
}}
 +
 
== 특징 ==
 
== 특징 ==
* ㄴ으로 시작하는 3글자의 단어들 중 하나이다.
+
* '''ㄴ'''으로 시작해서 '''고'''로 끝나는 3글자 단어이다.
* ㄴ으로 시작하는 [[앞말잇기 한방단어]]들 중 하나이다.
+
* 미션 글자 '''다'''를 1개 포함하고 있다.
* 미션 글자 '다'를 포함하고 있다.
 
  
[[분류:ㄴ으로 시작하는 단어]][[분류:고로 끝나는 단어]][[분류:앞말잇기 한방단어]][[분류:끝말잇기 방어단어]][[분류:자음이 들어가는 단어]][[분류:기타]]
+
[[분류:기타]][[분류:ㄴ으로 시작하는 단어]][[분류:고로 끝나는 단어]][[분류:끝말잇기 방어단어]][[분류:앞말잇기 공격단어]][[분류:자음이 들어가는 단어]]

2022년 8월 31일 (수) 03:24 기준 최신판

-ㄴ다고
주제
-
어인정
X
길이
3
미션
1

개요[편집]

사전
1(1) 앞 절의 일을 뒤 절 일의 까닭이나 근거로 듦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2흔히 속담과 같은 관용구를 인용하면서 ‘그 말처럼’의 뜻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2(1) 해할 자리에 쓰여, 자신의 생각이나 주장을 청자에게 강조하여 일러 주는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2) 해할 자리에 쓰여, ‘너의 말이나 생각이 이런 것이냐?’ 하는 뜻으로 묻는 데 쓰는 종결 어미. 빈정거리거나 부정하는 뜻을 나타낼 때도 있다.(3) 해할 자리에 쓰여, 마음속에 가졌던 어떤 의문의 답이 의외로 별것이 아니었을 때 그 의문을 그대로 보여 주는 데 쓰는 종결 어미. 의문이나 긴장 또는 걱정이 해소되었다는 뜻이 암시된다.3 간접 인용절에 쓰여, 어미 ‘-ㄴ다’에 인용을 나타내는 격 조사 ‘고’가 결합한 말.

특징[편집]

  • 으로 시작해서 로 끝나는 3글자 단어이다.
  • 미션 글자 를 1개 포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