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단어 |제목=기기 |원제=汽機<sup>1</sup> 奇技<sup>2</sup> 奇奇<sup>3</sup> 紀記<sup>4</sup> 氣機<sup>5</sup> 起期<sup>6</sup> 旣記<sup>7</sup> 期期<sup>8</sup>...)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분류:기타]][[분류:기계]][[분류:한의학]][[분류:기로 시작하는 단어]][[분류:기로 끝나는 단어]][[분류:돌림단어]][[분류:회문]]
 
{{단어
 
{{단어
|제목=기기
+
|원제=汽機 / 奇技 / 奇奇 / 紀記 / 氣機 / 起期 / 旣記 / 期期 / 攲器 / 棋器, 碁器 / 踦跂 / 機器, 器機 / 騏驥
|원제=汽機<sup>1</sup> 奇技<sup>2</sup> 奇奇<sup>3</sup> 紀記<sup>4</sup> 氣機<sup>5</sup> 起期<sup>6</sup> 旣記<sup>7</sup> 期期<sup>8</sup> 攲器<sup>9</sup> 棋器/碁器<sup>10</sup> 踦跂<sup>11</sup> 機器/器機<sup>12</sup> 騏驥<sup>13</sup>
+
|주제=기계
|주제=기계|주제2=한의학
+
|주제2=한의학
 
}}
 
}}
 
{{목차}}
 
{{목차}}
 +
== 개요 ==
  
== 개요 ==
+
=== 주제 <기타> ===
=== 주제 <기계> ===
 
 
{{인게임 뜻
 
{{인게임 뜻
|뜻={{인게임 뜻/번호|1}}{{인게임 뜻/주제|기계}}=[[증기기관|증기 기관]].
+
|뜻={{인게임 뜻/번호|2}}{{인게임 뜻/번호2|1}}기묘한 재주나 기술.{{인게임 뜻/번호2|2}}기묘한 재주나 기술로 만든 진기한 물건.{{인게임 뜻/번호|3}}‘기기하다01’의 어근.{{인게임 뜻/번호|4}}니혼쇼키(日本書紀)와 고지키(古事記)를 아울러 이르는 말.{{인게임 뜻/번호|6}}{{인게임 뜻/번호2|1}}사물이 시작하는 시기.{{인게임 뜻/번호2|2}}어떤 기간에서 기산점이 되는 시기.{{인게임 뜻/번호|7}}이미 기록함.{{인게임 뜻/번호|8}}말을 더듬는 모양. 중국 전한(前漢)의 주창(周昌)은 원래 말을 더듬는 데다 몹시 성이 나서 간하느라 황제 앞에서 “신은 기, 기필코 그것이 불가한 것임을 알고 있습니다(臣期期知其不可).”라고 말을 더듬었다는 데서 유래한다.{{인게임 뜻/번호|9}}중국 주나라 때에 임금을 경계하기 위하여 기울게 만들었다는 그릇. 물이 가득 차면 엎어지고, 비면 기울어지고, 알맞게 들어 있어야만 반듯하였다고 한다. ≒의기01.{{인게임 뜻/번호|10}}=바둑통.{{인게임 뜻/번호|11}}한쪽 다리가 짧거나 다치거나 하여 걷거나 뛸 때에 몸이 한쪽으로 자꾸 가볍게 기우뚱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파자03(跛者).{{인게임 뜻/번호|12}}기구, 기계(機械), 기계(器械)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인게임 뜻/번호|13}}{{인게임 뜻/번호2|1}}하루에 천 리를 달린다는 명마. 또는 몹시 빠르고 잘 달리는 말.{{인게임 뜻/번호2|2}}‘현인01(賢人)’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 주제 <한의학> ===
+
=== 주제 <기계> ===
 
{{인게임 뜻
 
{{인게임 뜻
|뜻={{인게임 뜻/번호|5}}{{인게임 뜻/주제|한의학}}기의 기능 활동.
+
|뜻={{인게임 뜻/주제|기계}}=증기 기관.
 
}}
 
}}
  
=== 주제 <기타> ===
+
=== 주제 <한의학> ===
 
{{인게임 뜻
 
{{인게임 뜻
|뜻={{인게임 뜻/번호|2}}{{인게임 뜻/번호2|1}} 기묘한 재주나 기술.{{인게임 뜻/번호2|2}} 기묘한 재주나 기술로 만든 진기한 물건.{{인게임 뜻/번호|3}}‘기기하다01’의 어근.{{인게임 뜻/번호|4}}[[니혼쇼키|니혼쇼키(日本書紀)]]와 [[고지키|고지키(古事記)]]를 아울러 이르는 말.{{인게임 뜻/번호|6}}{{인게임 뜻/번호2|1}} 사물이 시작하는 시기.{{인게임 뜻/번호2|2}} 어떤 기간에서 기산점이 되는 시기. {{인게임 뜻/번호|7}}이미 기록함.
+
|뜻={{인게임 뜻/주제|한의학}}기의 기능 활동.
}}
 
{{인게임 뜻
 
|뜻={{인게임 뜻/번호|8}}말을 더듬는 모양. 중국 전한(前漢)의 주창(周昌)은 원래 말을 더듬는 데다 몹시 성이 나서 간하느라 황제 앞에서 “신은 기, 기필코 그것이 불가한 것임을 알고 있습니다(臣期期知其不可).”라고 말을 더듬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인게임 뜻
 
|뜻={{인게임 뜻/번호|9}}중국 주나라 때에 임금을 경계하기 위하여 기울게 만들었다는 그릇. 물이 가득 차면 엎어지고, 비면 기울어지고, 알맞게 들어 있어야만 반듯하였다고 한다. ≒[[의기|의기01]].{{인게임 뜻/번호|10}}=[[바둑통]].
 
}}
 
{{인게임 뜻
 
|뜻={{인게임 뜻/번호|11}}한쪽 다리가 짧거나 다치거나 하여 걷거나 뛸 때에 몸이 한쪽으로 자꾸 가볍게 기우뚱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파자|파자03(跛者)]].{{인게임 뜻/번호|12}}기구, 기계(機械), 기계(器械)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
 
{{인게임 뜻
 
|뜻={{인게임 뜻/번호|13}}{{인게임 뜻/번호2|1}} 하루에 천 리를 달린다는 명마. 또는 몹시 빠르고 잘 달리는 말.{{인게임 뜻/번호2|2}} ‘[[현인|현인01(賢人)]]’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 특징 ==
 
== 특징 ==
* 두 글자 단어 중 하나이다.
+
* '''기'''로 시작하면서 '''기'''로 끝나는 2글자 단어이다.
* '기'~'기'인 [[돌림단어]]이자 [[회문]]인 단어 중 하나이다.
+
* 훈민정음에서 '''ㄱㄱ'''이 나올 때 사용할 수 있다.
* [[훈민정음]]에서 'ㄱㄱ'이 나올 때 사용이 가능하다.
+
* [[돌림단어]]이자 [[회문]]이다.
 
 
[[분류:기계]][[분류:기타]][[분류:한의학]][[분류:기로 시작하는 단어]][[분류:기로 끝나는 단어]][[분류:돌림단어]][[분류:회문]]
 

2024년 4월 5일 (금) 16:25 기준 최신판

기기
汽機 / 奇技 / 奇奇 / 紀記 / 氣機 / 起期 / 旣記 / 期期 / 攲器 / 棋器, 碁器 / 踦跂 / 機器, 器機 / 騏驥
주제
어인정
X
길이
2
미션
-

개요[편집]

주제 <기타>[편집]

사전
2(1)기묘한 재주나 기술.(2)기묘한 재주나 기술로 만든 진기한 물건.3‘기기하다01’의 어근.4니혼쇼키(日本書紀)와 고지키(古事記)를 아울러 이르는 말.6(1)사물이 시작하는 시기.(2)어떤 기간에서 기산점이 되는 시기.7이미 기록함.8말을 더듬는 모양. 중국 전한(前漢)의 주창(周昌)은 원래 말을 더듬는 데다 몹시 성이 나서 간하느라 황제 앞에서 “신은 기, 기필코 그것이 불가한 것임을 알고 있습니다(臣期期知其不可).”라고 말을 더듬었다는 데서 유래한다.9중국 주나라 때에 임금을 경계하기 위하여 기울게 만들었다는 그릇. 물이 가득 차면 엎어지고, 비면 기울어지고, 알맞게 들어 있어야만 반듯하였다고 한다. ≒의기01.10=바둑통.11한쪽 다리가 짧거나 다치거나 하여 걷거나 뛸 때에 몸이 한쪽으로 자꾸 가볍게 기우뚱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파자03(跛者).12기구, 기계(機械), 기계(器械)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13(1)하루에 천 리를 달린다는 명마. 또는 몹시 빠르고 잘 달리는 말.(2)‘현인01(賢人)’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주제 <기계>[편집]

사전
〈기계〉=증기 기관.

주제 <한의학>[편집]

사전
〈한의학〉기의 기능 활동.

특징[편집]

  • 로 시작하면서 로 끝나는 2글자 단어이다.
  • 훈민정음에서 ㄱㄱ이 나올 때 사용할 수 있다.
  • 돌림단어이자 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