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단어 |제목=톈진 조약 |원제=天津條約 |이미지=Signing_the_Treaty_of_Tientsin.jpg }} {{목차}} == 개요 == {{인게임 뜻 |뜻={{인게임 뜻/번호2|1}}1885년...)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일제강점기}}
 
{{단어
 
{{단어
 
|제목=톈진 조약
 
|제목=톈진 조약
12번째 줄: 13번째 줄:
  
 
== 특징 ==
 
== 특징 ==
* '톈'으로 시작하는 4글자 [[끝말잇기 방어단어]]이다.
+
* '''톈'''으로 시작해서 '''약'''으로 끝나는 4글자 단어이다.
 +
* '''톈'''으로 시작하는 4글자 [[끝말잇기 방어단어]]이다.
 
* (구)표준국어대사전의 오류로 [[역사(주제)|<역사>]]로 분류되지 않았다.
 
* (구)표준국어대사전의 오류로 [[역사(주제)|<역사>]]로 분류되지 않았다.
  
 
[[분류:기타]][[분류:톈으로 시작하는 단어]][[분류:약으로 끝나는 단어]][[분류:끝말잇기 방어단어]][[분류:앞말잇기 공격단어]]
 
[[분류:기타]][[분류:톈으로 시작하는 단어]][[분류:약으로 끝나는 단어]][[분류:끝말잇기 방어단어]][[분류:앞말잇기 공격단어]]

2024년 1월 15일 (월) 17:47 기준 최신판

일제강점기
배경 / 국권피탈과정
운요호 사건(1875) · 강화도 조약(1876) · 임오군란(1882) · 제물포 조약(1882) · 갑신정변(1884) · 한성조약(1885) · 톈진 조약(1885) · 갑오사변(1894) · 청일전쟁(1894) · 시모노세키 조약(1895) · 삼국간섭(1895) · 을미사변(1895) · 아관파천(1896) · 베베르-고무라 각서(1896) · 로바노프-야마가타 의정서(1896) · 대한제국 선포(1897) · 니시-로젠 협정(1898) · 1차 영일동맹(1902) · 대한제국 러-일 전쟁 시 중립 선언(1904) · 러일전쟁(1904) · 한일의정서(1904) · 제1차 한일협약(1904) · 한일통신기관협정서(1905) · 대한제국군 강제 감축(1905) · 가쓰라-태프트 밀약(1905) · 2차 영일동맹(1905) · 한국 연해 및 내하의 항행에 관한 약정서(1905) · 포츠머스 조약(1905) · 을사늑약(1905) · 고종 황제 퇴위(1907) · 정미 7조약(1907) · 대한제국 군대 강제 해산(1907) · 기유각서(1909) · 남한대토벌(1909) · 간도협약(1909) · 한일약정각서(1910) · 한반도의 식민지화(1910)
상징
일장기(국기) · 기미가요(국가)
사용 언어
한국어한글(1910~1930대 말)일본어(1940대~1945)
시대 구분
무단통치기(1910~1919) · 문화통치기(1920~1930) · 민족말살통치기(1931~1945)
통치기구
한국통감부(1905~1910)조선총독부(1910~1945)
주요제도
토지 조사 사업(1912~1918) · 헌병경찰제도(1910~1919) · 즉결처분권(?~?) · 산미 증산 계획(1920~1944) · 국가총동원법(1938~1946) · 내선일체(1930대~?) · 창씨개명(1940~1946) · 농촌진흥운동(1932~1940)
주요 사건사고 및 독립운동
105인 사건(1911) · 3·1 운동(1919~1945) · 제암리 학살사건(1910대~?) · 6.10 만세운동(1926) · 광주 학생 항일 운동(1929~1930) · 화교배척폭동1927년 화교배척폭동 만보산사건 오보사건 1931년 화교배척폭동 1931년 평양 화교 학살(1927~1931) · 조선어학회 회원 고문사건(1942)
단체
국어연구학회(1908~1911)배달말글몯음(1911~1913)한글모(1913~1921)조선어연구회(1921~1931)조선어학회(1931~1949)한글학회(1949~?) 한글 맞춤법 통일안 외래어 표기법 · 대한민국 임시정부(1911~1948) · 국민대표회의(1923) · 한국독립당(1930~?) · 한인애국단(1931~?) · 한국국민당(1935~?) · 한국독립당(1940~?) · 한국독립당(1940~1946)
민족대표 33인
민족대표 33인
민트색 글씨 : 후에 친일파 또는 친일반민족행위자로 전향한 인물.
권동진 권병덕 길선주 김병조 김완규 김창준
나용환 나인협 박동완 박희도 백용성
박준승 손병희 신석구 신홍식 양전백 양한묵
오세창 오화영 유여대 이갑성 이명룡 이승훈
이종일 이종훈 이필주 임예환 정춘수 최린
최성모 한용운 홍기조 홍병기
이전 시대 / 이후 시대
대한제국 / 미군정시대 및 소련 군정시대
이후 국가 / 이전 국가
대한제국 / 대한민국
대한민국
제1공화국 제2공화국 제3공화국 제4공화국 제5공화국 제6공화국
톈진 조약
天津條約
Signing the Treaty of Tientsin.jpg
주제
-
어인정
X
길이
4
미션
-

개요[편집]

사전
(1)1885년에 중국의 톈진에서 일본청나라가 맺은 조약.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이홍장조선에 있는 일본군과 청나라 군대를 철수할 것과 군대를 조선에 다시 파견할 때는 서로에게 미리 알릴 것을 합의하였다.(2)1858년에 중국톈진에서 청나라와 영국, 프랑스, 러시아, 미국 네 나라가 맺은 조약. 기독교 신앙 및 선교의 자유, 항구의 개방, 거류민의 보호 따위를 정하였다.(3)1885년에 중국의 톈진에서 프랑스와 청나라가 맺은 조약. 프랑스의 베트남 보호권을 인정하였다.

특징[편집]

  • 으로 시작해서 으로 끝나는 4글자 단어이다.
  • 으로 시작하는 4글자 끝말잇기 방어단어이다.
  • (구)표준국어대사전의 오류로 <역사>로 분류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