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분류:동음이의어 ==세상에 널리 알려진 사람== 명사(1)문서 참조. ==이름난 선비== 명사(2)문서 참조. ==명풍의 다른 말== 명사(민...)
 
잔글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동음이의어]]
+
 
==세상에 널리 알려진 사람==
+
* 명사의 다른 의미에 대한 것은 [[명사(동음이의어)]] 문서 참조.
[[명사(1)]]문서 참조.
+
{|class="wikitable" align="right" style="text-align:center;"
==이름난 선비==
+
|-
[[명사(2)]]문서 참조.
+
!colspan="2" style="color:white;background-color:#FF007F;" | <big>언어</big>
==[[명풍]]의 다른 말==
+
|-
[[명사(민속1)]]문서 참조.
+
! width=100px style="color:white;background-color:#FF007F;"| 분류
==사물의 이름을 나타내는 품사==
+
| [[언어]]
[[명사(언어)]]문서 참조.
+
|-
==하나의 개념을 언어로 나타내 명제를 나타내는 요소 ==
+
! style="color:white;background-color:#FF007F;"| 글자 수
[[명사(논리)]]문서 참조.
+
| 2
==[[톳실]]의 다른 말 ==
+
|-
[[명사(민속2)]]문서 참조.
+
! style="color:white;background-color:#FF007F;"| 어인정
==중국 청나라에 만들어진 책 ==
+
| X
[[명사(책명)]]문서 참조.
+
|-
==곱고 깨끗한 모래 ==
+
! style="color:white;background-color:#FF007F;"| 미션
[[명사(3)]]문서 참조.
+
| 사[1]
==조계종의 등급 ==
+
|}
[[명사(불교)]]문서 참조.
+
'''名詞'''<br>
==[[명주실]]의 다른 말 ==
+
사물의 이름을 나타내는 품사. 특정한 사람이나 물건에 쓰이는 이름이냐 일반적인 사물에 두루 쓰이는 이름이냐에 따라 고유 명사와 보통 명사로, 자립적으로 쓰이느냐 그 앞에 반드시 꾸미는 말이 있어야 하느냐에 따라 자립 명사와 의존 명사로 나뉜다. ≒이름씨ㆍ임씨.
[[명사(4)]]문서 참조.
+
[[분류:비 어인정 주제]][[분류:명으로 시작하는 단어]][[분류:사로 끝나는 단어]]
==[[모과(식물)]]의 다른 말 ==
 
[[명사(식물)]]문서 참조.
 
==남이 베푼 은혜를 마음속 깊이 새기어 감사함==
 
[[명사(5)]]문서 참조.
 
==밟으면 독특한 소리를 내는 모래==
 
[[명사(지리)]]문서 참조.
 
==마음속 깊이 느껴 감사함==
 
[[명사(6)]]문서 참조.
 
==[[명령]]의 다른말==
 
[[명사(7)]]문서 참조.
 

2019년 6월 6일 (목) 21:08 판

언어
분류 언어
글자 수 2
어인정 X
미션 사[1]

名詞
사물의 이름을 나타내는 품사. 특정한 사람이나 물건에 쓰이는 이름이냐 일반적인 사물에 두루 쓰이는 이름이냐에 따라 고유 명사와 보통 명사로, 자립적으로 쓰이느냐 그 앞에 반드시 꾸미는 말이 있어야 하느냐에 따라 자립 명사와 의존 명사로 나뉜다. ≒이름씨ㆍ임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