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 뜻|설명=주제|문서=고적(주제)}}
 
{{다른 뜻|설명=주제|문서=고적(주제)}}
 
{{단어
 
{{단어
|원제=古跡 / 古蹟 / 考績 / 固積 / 孤寂 /<br>故敵 / 高適 / 高適 / 高積 / 鼓笛
+
|원제=古跡<sup>1</sup> / 古蹟<sup>2</sup> / 考績<sup>3</sup> / 固積<sup>4</sup> / 孤寂<sup>5</sup> / 故敵<sup>6</sup> / 高適<sup>7</sup> / 高適<sup>8</sup> / 高積<sup>9</sup> / 鼓笛<sup>10</sup>
 
|주제=역사
 
|주제=역사
 
|주제2=광업
 
|주제2=광업
 
|주제3=인명
 
|주제3=인명
 +
|주제4=끄투코리아
 
}}
 
}}
 
{{목차}}
 
{{목차}}
  
== 개요 ==
+
== 주제 <기타> ==
 
+
=== 개요 ===
=== 주제 <기타> ===
 
 
{{인게임 뜻
 
{{인게임 뜻
 
|뜻={{인게임 뜻/번호|1}}집안에 초상이 났을 때 친척이 만들어 가는 부조 떡(제주).{{인게임 뜻/번호|2}}옛 문화를 보여 주는 건물이나 터. ≒[[고적지]].{{인게임 뜻/번호|5}}외롭고 쓸쓸함.{{인게임 뜻/번호|6}}옛날의 적.{{인게임 뜻/번호|9}}높이 쌓임.{{인게임 뜻/번호|10}}북과 피리를 아울러 이르는 말.  
 
|뜻={{인게임 뜻/번호|1}}집안에 초상이 났을 때 친척이 만들어 가는 부조 떡(제주).{{인게임 뜻/번호|2}}옛 문화를 보여 주는 건물이나 터. ≒[[고적지]].{{인게임 뜻/번호|5}}외롭고 쓸쓸함.{{인게임 뜻/번호|6}}옛날의 적.{{인게임 뜻/번호|9}}높이 쌓임.{{인게임 뜻/번호|10}}북과 피리를 아울러 이르는 말.  
 
}}
 
}}
==== 예문 ====
+
=== 예문 ===
 
* '''고적 {{인게임 뜻/번호|2}}'''
 
* '''고적 {{인게임 뜻/번호|2}}'''
 
** '''고적'''을 답사하다.
 
** '''고적'''을 답사하다.
27번째 줄: 27번째 줄:
 
** '''고적''' 소리가 점점 가까이 들렸다.
 
** '''고적''' 소리가 점점 가까이 들렸다.
  
=== 주제 <역사> ===
+
== 주제 <역사> ==
 +
=== 개요 ===
 
{{인게임 뜻
 
{{인게임 뜻
 
|뜻={{인게임 뜻/번호|3}}{{인게임 뜻/주제|역사}}=[[고과|고과01(考課)「3」]].
 
|뜻={{인게임 뜻/번호|3}}{{인게임 뜻/주제|역사}}=[[고과|고과01(考課)「3」]].
 
}}
 
}}
  
=== 주제 <광업> ===
+
== 주제 <광업> ==
 +
=== 개요 ===
 
{{인게임 뜻
 
{{인게임 뜻
 
|뜻={{인게임 뜻/번호|4}}{{인게임 뜻/주제|광업}}=[[고적층]].
 
|뜻={{인게임 뜻/번호|4}}{{인게임 뜻/주제|광업}}=[[고적층]].
 
}}
 
}}
  
=== 주제 <인명> ===
+
== 주제 <인명> ==
 +
=== 개요 ===
 
{{인게임 뜻
 
{{인게임 뜻
 
|뜻={{인게임 뜻/번호|7}}{{인게임 뜻/주제|인명}}고려 시대의 문신(?~?). 삼별초의 난이 평정되자 유총관(留摠官)에 임명되어 탐라 백성을 다스렸다.{{인게임 뜻/번호|8}}{{인게임 뜻/주제|인명}}중국 당나라의 시인(707?~765). 자는 달부(達夫). 벼슬은 감찰어사ㆍ절도사를 지냈으며, 잠참과 더불어 변경(邊境)의 풍물을 읊었다.
 
|뜻={{인게임 뜻/번호|7}}{{인게임 뜻/주제|인명}}고려 시대의 문신(?~?). 삼별초의 난이 평정되자 유총관(留摠官)에 임명되어 탐라 백성을 다스렸다.{{인게임 뜻/번호|8}}{{인게임 뜻/주제|인명}}중국 당나라의 시인(707?~765). 자는 달부(達夫). 벼슬은 감찰어사ㆍ절도사를 지냈으며, 잠참과 더불어 변경(邊境)의 풍물을 읊었다.
 
}}
 
}}
  
=== 주제 <끄투코리아> ===
+
== 주제 <끄투코리아> ==
 +
=== 개요 ===
 
[[끄투코리아]]의 비어인정 주제이다.
 
[[끄투코리아]]의 비어인정 주제이다.
  
 
== 특징 ==
 
== 특징 ==
* 고로 시작하는 2글자 단어이다.
+
* '''고'''로 시작해서 '''적'''으로 끝나는 2글자 단어이다.
  
[[분류:기타]][[분류:역사]][[분류:광업]][[분류:인명]][[분류:끄투코리아]][[분류:고로 시작하는 단어]][[분류:적으로 끝나는 단어]][[분류:방언]][[분류:북한어]]
+
[[분류:역사]][[분류:광업]][[분류:인명]][[분류:끄투코리아]][[분류:고로 시작하는 단어]][[분류:적으로 끝나는 단어]][[분류:방언]][[분류:북한어]]

2022년 4월 22일 (금) 01:34 판

주제에 대한 내용은 고적(주제)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고적
古跡1 / 古蹟2 / 考績3 / 固積4 / 孤寂5 / 故敵6 / 高適7 / 高適8 / 高積9 / 鼓笛10
주제
어인정
X
길이
2
미션
-

주제 <기타>

개요

사전
1집안에 초상이 났을 때 친척이 만들어 가는 부조 떡(제주).2옛 문화를 보여 주는 건물이나 터. ≒고적지.5외롭고 쓸쓸함.6옛날의 적.9높이 쌓임.10북과 피리를 아울러 이르는 말.

예문

  • 고적 2
    • 고적을 답사하다.
    • 이 절은 신라 시대의 고적이다.
    • 다음 날은 종일 경주시 주변에 있는 고적들을 버스로 돌며 구경하게 되어 있었다.
  • 고적 5
    • 고적에 싸이다.
    • 이국땅에서 고적을 느끼며 살아온 동포들은 고향 땅을 밟는 순간 눈물을 터뜨렸다.
    • 나뭇가지에서 솔바람이 불고 멀리서 꿩 우는 소리가 들려와서 더욱 산중의 고적을 실감할 수 있었다.
  • 고적 10
    • 고적을 울리다.
    • 고적 소리가 점점 가까이 들렸다.

주제 <역사>

개요

사전

주제 <광업>

개요

사전
4〈광업〉=고적층.

주제 <인명>

개요

사전
7〈인명〉고려 시대의 문신(?~?). 삼별초의 난이 평정되자 유총관(留摠官)에 임명되어 탐라 백성을 다스렸다.8〈인명〉중국 당나라의 시인(707?~765). 자는 달부(達夫). 벼슬은 감찰어사ㆍ절도사를 지냈으며, 잠참과 더불어 변경(邊境)의 풍물을 읊었다.

주제 <끄투코리아>

개요

끄투코리아의 비어인정 주제이다.

특징

  • 로 시작해서 으로 끝나는 2글자 단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