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단어 |제목=호구 |원제=戶口<sup>2</sup> 狐裘<sup>3</sup> 虎口<sup>4</sup> 糊口/餬口<sup>5</sup> 護具<sup>6</sup> |이미지=검도호구.jpg |이미지 설명=6 |...)
 
잔글
1번째 줄: 1번째 줄:
 
{{단어
 
{{단어
 
|제목=호구
 
|제목=호구
|원제=戶口<sup>2</sup> 狐裘<sup>3</sup> 虎口<sup>4</sup> 糊口/餬口<sup>5</sup> 護具<sup>6</sup>
+
|원제=戶口<sup>2</sup> 狐裘<sup>3</sup> 虎口<sup>4</sup> 糊口/餬口<sup>5, 성어</sup> 護具<sup>6</sup>
 
|이미지=검도호구.jpg
 
|이미지=검도호구.jpg
 
|이미지 설명=6
 
|이미지 설명=6

2022년 2월 6일 (일) 15:06 판

호구
戶口2 狐裘3 虎口4 糊口/餬口5, 성어 護具6
주제
어인정
X
길이
2
미션
-

주제 <기타>

개요

사전
1괴통.2호적상 집의 수효와 식구 수. 3여우의 겨드랑이 밑에 있는 흰 털로 만든 옷.4(1)범의 아가리라는 뜻으로, 매우 위태로운 처지나 형편을 이르는 말.(2)어수룩하여 이용하기 좋은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5입에 풀칠을 한다는 뜻으로, 겨우 끼니를 이어 감을 이르는 말.

우리가 아는 뜻은 4번의 (2)번 뜻이다.

주제 <체육>

개요

사전
4(3)〈체육〉바둑에서, 바둑돌 석 점이 둘러싸고 한쪽만이 트인 그 속.6〈체육〉검도, 태권도 따위에서, 몸을 보호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기구. ≒방구(防具).

주제 <한국 대중음악>

2015년 12월 29일 발매한 가수 기리보이의 노래다.

가사

아무것도 필요 없어 대체 뭐가 더
필요할 수 있겠어 난 그냥 뭐라도
해야겠단 생각에
집 밖을 나갔을 뿐인데
니가 언짢아하면 난 할 말이 없어
너는 열두 시가 되면
전화기를 안 받아
그러다 세 시 아님 다섯 시에
문자가 와
어쩌구저쩌구 방금 자다 깼어
이거 듣는 사람
그녀가 클럽에 있었단 건
비밀로 해 줘
왜냐면 난 걔를 좋아해
걔가 어떤 앤지 알고서도 좋아해
걔가 다른 남잘 만나는 걸
알고 있지 나는
근데 걔는 내가 모를 줄
아는 만큼 꽤 순수해
가슴의 찢어짐을 이기는 건 너
답장의 기다림을 이기는 건 너
너 그래 너 바로 너야
필요할 때만 넌
나를 사용해도 좋아
너 정도 여자 만나려면
어디까지 감당해야 하니
오늘은 또 어디 가니
세상은 원래 이런 건가 봐
사랑은 원래 이런 건가 봐
너는 블로거 같아
좋은 곳을 많이 알지
나랑 간 줄 알고
너는 말실수를 하지
세상은 원래 이런 건가 봐
사랑은 원래 이런 건가 봐
아무것도 필요 없어 대체 뭐가 더
필요할 수 있겠어 난 그냥 뭐라도
해야겠단 생각에
집 밖을 나갔을 뿐인데
니가 나를 안 만나 줬잖아
내가 화를 내면
너는 내게 찬물을 끼얹네
너는 여신이니까 그래도 돼
너는 여신이니까 여신이니까
여신이니까
너는 되고 나는 다 안 되는 게
법이니까
how much is it
이제 돈으로 사겠어
정말 되게 쉽지
옷 사준다는 말에
바로 답장해서 고마워
백화점을 전부 사줄게
그게 얼마든
돈도 필요 없어 대체 얼마를 더
필요할 수 있겠어 난 그냥 널 봐서
강아지마냥 기분이 좋아
귀여워할 때만
나를 사용해도 좋아
너 정도 여자 만나려면
어디까지 감당해야 하니
오늘은 또 어디 가니
세상은 원래 이런 건가 봐
사랑은 원래 이런 건가 봐
너는 블로거 같아
좋은 곳을 많이 알지
나랑 간 줄 알고
너는 말실수를 하지
세상은 원래 이런 건가 봐
사랑은 원래 이런 건가 봐
Girl what am I to you
so tell me what I gotta do
니 연락 한 번에 녹아내리는
날 알잖아 넌
Girl what am I to you
나 보고 더 어떡하라구
그냥 좋은 사람이고만 싶진
않은데 이젠
너 정도 여자 만나려면
어디까지 감당해야 하니
오늘은 또 어디 가니
세상은 원래 이런 건가 봐
사랑은 원래 이런 건가 봐
너는 블로거 같아
좋은 곳을 많이 알지
나랑 간 줄 알고
너는 말실수를 하지
세상은 원래 이런 건가 봐
사랑은 원래 이런 건가 봐

주제 <성어>

5번 뜻과 같다.

특징

  • 훈민정음에서 'ㅎㄱ'이 나올 때 쓸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