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주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관련 문서|상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정원본}} {{단어 |제목=상지은니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4 |이미지=상지은니2.jpg |주제=국가지정문화재...)
 
 
1번째 줄: 1번째 줄:
 
{{관련 문서|상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정원본}}
 
{{관련 문서|상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정원본}}
 +
{{관련 문서| 상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주본권}}
 
{{단어
 
{{단어
 
|제목=상지은니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4
 
|제목=상지은니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4
11번째 줄: 12번째 줄:
 
이 사경은 고려후기 14세기 중기에 상지에 은니로 사성한 화엄경 80권 가운데 권4에 해당되는 잔권1첩이다.
 
이 사경은 고려후기 14세기 중기에 상지에 은니로 사성한 화엄경 80권 가운데 권4에 해당되는 잔권1첩이다.
 
== 특징 ==
 
== 특징 ==
* 상으로 시작하는 13글자 단어이다.
+
* 상으로 시작하는 13글자 단어이다
 +
* [[상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주본권|이 단어]]에서 권을 빼서 재추가 되었다.
  
 
[[분류:국가지정문화재]][[분류:상으로 시작하는 단어]][[분류:본으로 끝나는 단어]]
 
[[분류:국가지정문화재]][[분류:상으로 시작하는 단어]][[분류:본으로 끝나는 단어]]

2022년 3월 26일 (토) 19:57 기준 최신판

상지은니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4
橡紙銀泥 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四 / Transcription of Avatamsaka Sutra (The Flower Garland Sutra), Zhou Version, in Silver on Oak Paper, Volume 4
상지은니2.jpg
주제
어인정
O
길이
13
미션
-

개요[편집]

이 사경은 고려후기 14세기 중기에 상지에 은니로 사성한 화엄경 80권 가운데 권4에 해당되는 잔권1첩이다. 권수에 변상도는 없으나 표지는 연화문으로 장엄되어 있으며, 본문의 글씨는 해서체로 매우 정성껏 필사되어 있고 원형이 거의 온전하게 잘 보존되어 상태도 양호하다. 상지에 은니로 쓴 사경은 국내에 모두 10여점이 전존되고 있으며, 이 중 화엄경은 2점이 지정되어 기림사와 국립중앙박물관에 수장되어 있는 실정이다.

- 문화재청 설명

이 사경은 고려후기 14세기 중기에 상지에 은니로 사성한 화엄경 80권 가운데 권4에 해당되는 잔권1첩이다.

특징[편집]

  • 상으로 시작하는 13글자 단어이다
  • 이 단어에서 권을 빼서 재추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