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망조광조선생적려유허비

허사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1월 22일 (토) 11:53 판 (새 문서: 분류:국내 관광지/삭제된 단어분류:정으로 시작하는 단어분류:비로 끝나는 단어분류:삭제된 단어 {{다른 뜻|설명=정확한 표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정확한 표기에 대한 내용은 정암조광조선생적려유허비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정암 조광조선생 적려 유허비
和順靜菴趙光朝先生謫廬遺墟碑
정암조광조선생적려유허비.png
주제
어인정
O
길이
12
미션
-

개요

1519년 기묘사화로 인해 능성에 귀양을 왔던 정암 조광조(1482~1519) 선생을 추모코자 세운 것이 적려유허비이다. 적려란 귀양 또는 유배를 말한다. 이 적려유허비는 능성현 당시 북문이 있었던 곳 부근 도로변에 자리하고 있는데 귀부와 비신, 이수를 갖추고 있다. 귀부는 자연석에 가까운 암석으로 거북의 형태만 갖추었고 귀부도 형상만 다듬었다. 비신은 전면에 [정암조선생적려유허추모비]라 하여 해서체 종서 2행으로 썼다. 비신 뒷면은 상단에 [정암조선생추모비]라 전액하고, 그 밑으로는 정암선생의 유배 내력을 기록하였다. 비문은 의정부 우찬 겸 성균관제주세자이사 송시열이 짓고 전서는 충청도 관찰사 겸 수군절도사 순찰사 민유중이,글씨는 의정부 좌참찬 송준길이 썼으며 현종 8년(1667년) 4월에 능주목사 민여로가 건립하였다.

- 대한민국 구석구석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에 있는 전라남도 기념물.

특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