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maro123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8월 7일 (토) 19:33 판 (새 문서: {{단어 대결용 단어}} {{한글자모}} {{단어 |제목=ㅍ |주제=언어 }} {{목차}} == 개요 == {{인게임 뜻 |뜻={{인게임 뜻/주제|언어}}한글 자모의 열...)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 단어 대결용 단어

이 문서가 설명하고 있는 단어는 한국어 단어 대결 혹은 영어 단어 대결에서만 사용이 가능한 단어입니다.
한글의 자모
현대 한글
자음 자음 · · · · · · · · · · · · ·
쌍자음 · · · ·
모음 모음 · · · · · · · · ·
겹모음 · · · · · · · · · ·
옛 한글
기본 자모 · · ·
중국어를 표기하기 위한 자음 ᄼ · ᄾ · ᅎ · ᅐ · ᅔ · ᅕ
겹자모 초성 각자병서
· ᄴ · ᄽ · ᄿ · ᅏ · ᅑ · · · ꥼ
활용병서 / ㅂ계
ㅲ · ᄠ · ㅄ · ㅶ · ᄩ
활용병서 / ㅅ계
ㅺ · ㅼ · ㅽ · ㅾ
활용병서 / ㅄ계
ㅴ · ㅵ
연서(ㅂ 불규칙 용언)
· · · ·
중성 ㆉ · ㆌ · ᆜ · ᆝ
종성 ᇑ · ㅭ · ᇚ
주제
어인정
X
길이
1
미션
-

개요[편집]

사전
〈언어〉한글 자모의 열셋째 글자. ‘피읖’이라 이르며, ‘’에서와 같이 초성으로, ‘앞’에서와 같이 종성으로 쓰인다. 목젖으로 콧길을 막고 두 입술을 다물었다가 뗄 때에 거세게 나는 무성 유기 파열음이다. 종성일 때는 두 입술을 떼지 않고 막기만 해서 내는 소리로 ‘’의 경우와 같다. 이 글자의 소리는 ‘, ’보다 세게 나므로 ‘’에 획을 더하여 만든 글자이다.

특징[편집]

  • 한 글자 단어들 중 하나이다.
  • 이 단어언어 단어대결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