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화국

허사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8월 19일 (목) 16:49 판 (새 문서: {{다른 뜻|설명=공화주의 정치 체제|문서=공화제}} {{단어 |원제=共和國 / Republic |이미지=공화국.png |주제=정치 |주제2=철학 |주제3=시드 마이...)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공화주의 정치 체제에 대한 내용은 공화제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공화국
共和國 / Republic
공화국.png
주제
어인정
X
길이
3
미션
-

개요

주제 <정치>

사전
1〈정치〉공화 정치를 하는 나라. 주권이 국민에게 있는 나라를 이른다. ≒공국02(共國).

예문

  • 우리는 합법 정부인 공화국 정부로부터 파병 요청을 받고 온 거야. 궤변 늘어놓지 말고 기습하게 된 배경이나 말해.≪이원규, 훈장과 굴레≫

주제 <철학>

사전
2〈철학〉기원전 380년경에 플라톤이 쓴 대화편(對話篇)의 하나. 이상 국가는 철학자인 왕이 지배하는 윤리 국가임을 대화 형식으로 논하였다. 10권. ≒국가편(國家篇).

주제 <시드 마이어의 문명>

공화국은 군주제나 전제적 형태의 정부처럼 통치자에게 권력이 집중돼 있지 않고 국민이나 국민의 대변인이 최고의 권력을 가지는 형태의 정부다. 국민이나 국민의 대변인이 지도자를 선출할 수 있지만, 지도자의 권력은 국민의 동의에서 비롯한다. 일부 고전 문화는 어떤 형태의 공화제를 가지고 있었는데 특히 그리스의 몇몇 도시 국가와 로마(역사 중 일부)가 그렇기는 했지만, 대부분의 세계역사에서는 군주제가 가장 흔한 형태의 정부였다.
공화국은 미국이 영국 군주제로부터 독립을 선언하고 공화국으로 선포했을 때인 18세기 무렵 세상에 다시 그 모습을 드러냈다. 그들이 구세계로부터 독립을 했지만, 중미와 남미 신생 국가들 대부분은 공화국(멕시코는 군주제로 잠시 남아있기는 했지만 그리 오래가지는 못했다)이었다. 20세기에 들어서는 많은 아시아 국가와 마찬가지로 유럽 정부 대부분은 한 두 번의 세계대전을 겪은 뒤 공화국이 되었다. 아프리카의 여러 국가 역시 식민지배로부터 독립하면서 이러한 과정을 거쳤다. 오늘날 전 세계 국가 대부분은 공화제 형태를 띄고(아니면 최소한 따르겠다고 주장) 있다.

문명의 사회 정책 중 하나이다.

모든 도시에서 1의 생산을 얻게 되고, 도시에서 건물을 건설할 때 5%의 생산 보너스를 얻게 된다.

특징

  • 공으로 시작하는 3글자 단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