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통도사은제도금아미타여래삼존상및복장유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단어 |제목=양산 통도사 은제도금아미타여래삼존상 및 복장유물 |원제=梁山通度寺銀製鍍金阿彌陀如來三尊像─腹藏遺物 |이미지=양산통...)
 
 
6번째 줄: 6번째 줄:
 
}}
 
}}
 
{{목차}}
 
{{목차}}
 
 
== 개요 ==
 
== 개요 ==
 
경남 양산시 통도사에 보관되어있다.
 
경남 양산시 통도사에 보관되어있다.

2023년 1월 26일 (목) 11:49 기준 최신판

양산 통도사 은제도금아미타여래삼존상 및 복장유물
梁山通度寺銀製鍍金阿彌陀如來三尊像─腹藏遺物
양산통도사은제도금아미타여래삼존상및복장유물.jpg
주제
어인정
O
길이
22
미션
111

개요[편집]

경남 양산시 통도사에 보관되어있다.

2012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통도사 은제도금아미타여래삼존상은 상 내부에서 다량의 복장유물이 발견되었다. 복장물은 원성미타삼존동발원(願成彌陀三尊同發願), 황초폭자, 오보병, 팔엽개, 원경, 오곡, 진주, 수정, 사리, 금, 향목, 오색사, 직물류 등 30건 48점에 이른다. 발원문 기록을 통해 1450년 승속인 400여 명이 동참하여 조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은제도금아미타여래삼존상은 항마촉지인에 왼손의 엄지와 중지를 구부린 아미타여래, 두루마리와 경권을 든 관음과·대세지보살의 삼존으로 구성되었다. 관음과 대세지보살상은 본존불의 대좌 좌우에서 뻗은 가지에 있는 앙련좌를 대좌로 한 독특한 구성을 보인다. 아미타여래는 짧은 신체에 비해 큰 머리, 매우 간략한 옷주름, 온화하면서도 위엄을 갖춘 표정, 편단우견식 대의, 젖꼭지의 표현, 귀꽃이 장식된 연화좌, 상현좌 등이 특징이다. 관음과 대세지보살상은 신체 비례나 얼굴 표현 등은 아미타와 비슷하지만 보관과 목걸이, 팔찌, 귀걸이 등의 장식을 착용하였으며, 천의를 입고 군의 위에 요포를 걸쳤다. 이 삼존상은 통일신라적인 전통과 새로운 외래요소가 결합된 작품이다. 보살상의 천의라든지 좌우로 뻗친 치마와 U형으로 흘러 내린 부드러운 옷주름은 통일신라적 요소이다. 반면 여래상의 정상계주라든지 보살상의 원반형 귀걸이, U형으로 단순화된 목걸이, 나무형의 보관 장식 등은 고려 후기에서 계승된 것으로 중국의 원·명대 불상과 관련되는 특징들이다.

-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특징[편집]

  • 미션 사, 아, 타를 포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