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글
2번째 줄: 2번째 줄:
 
== '''[화학]''' ==
 
== '''[화학]''' ==
 
{{단어
 
{{단어
|색=#FF007F
 
 
|제목=원소
 
|제목=원소
 
|원제=element
 
|원제=element
 
|이미지=원소.jpg
 
|이미지=원소.jpg
|주제1='''[[화학]]'''
+
|주제=화학
|어인정=x
 
|길이=2
 
|미션=x
 
 
}}
 
}}
 
=== {개요} ===
 
=== {개요} ===
40번째 줄: 36번째 줄:
 
==== {기호} ====
 
==== {기호} ====
 
{{단어
 
{{단어
|색=#FF007F
 
 
|제목=원소
 
|제목=원소
 
|원제=element
 
|원제=element
 
|이미지=원소 집합.png
 
|이미지=원소 집합.png
|주제1='''[[수학]]'''
+
|주제=수학
|어인정=x
 
|길이=2
 
|미션=x
 
 
}}
 
}}
 
집합을 구성하는 각 개체를 그 집합의 [[원소]]([[element]]) 또는 [[구성원]]([[member]])이라고 한다.
 
집합을 구성하는 각 개체를 그 집합의 [[원소]]([[element]]) 또는 [[구성원]]([[member]])이라고 한다.
77번째 줄: 69번째 줄:
 
== '''[철학]''' ==
 
== '''[철학]''' ==
 
{{단어
 
{{단어
|색=#FF007F
 
 
|제목=원소
 
|제목=원소
 
|원제=element
 
|원제=element
 
|이미지=4대원소.jpg
 
|이미지=4대원소.jpg
|주제1=철학
+
|주제=철학
|어인정=x
 
|길이=2
 
|미션=없음
 
 
}}
 
}}
 
==== {개요} ====
 
==== {개요} ====
114번째 줄: 102번째 줄:
  
  
[[분류:화학]][[분류:수학]][[분류:철학]][[분류:인명]][[분류:역사]][[분류:원으로 시작하는 단어]][[분류:소로 시작하는 단어]]
+
[[분류:화학]][[분류:수학]][[분류:철학]][[분류:인명]][[분류:역사]][[분류:원으로 시작하는 단어]][[분류:소로 끝나는 단어]]
  
  
124번째 줄: 112번째 줄:
 
== '''[역사]''' ==
 
== '''[역사]''' ==
 
{{단어
 
{{단어
|색=#FF007F
 
 
|제목=원소
 
|제목=원소
 
|원제=園所(園寢)
 
|원제=園所(園寢)
 
|이미지=원침.jpg
 
|이미지=원침.jpg
|주제1=역사
+
|주제=역사
|어인정=x
 
|길이=2
 
|미션=
 
 
}}
 
}}
 
==== {개요} ====
 
==== {개요} ====

2020년 4월 12일 (일) 03:02 판

[화학]

원소
element
원소.jpg
주제
어인정
X
길이
2
미션
-

{개요}

모든 물질구성하는 기본적 요소. 원자핵 내의 양성자 수와 원자번호가 같다. 현재까지는 112종이 알려져 있다. 옆에 있는 인물은 원자설을 제안한 영국화학자 Dalton이다.

(같은 단어)

화학 원소











[수학]

{기호}

원소
element
원소 집합.png
주제
어인정
X
길이
2
미션
-

집합을 구성하는 각 개체를 그 집합의 원소(element) 또는 구성원(member)이라고 한다.

어떤 개체 χ가 집합 Υ의 원소일 때, 기호로

χ ∈ Υ 이고,

아닐때는

χ 와Υ의 사이에 ∈에/가 혼합된 문양이 들어간 식이 나온다.

구성원임을 나타내는 기호(∈)는 페아노가 사용하였던 기호 ε(엡실론)에서 유래하였는데, 이는 그리스의 '~이다.'를 나타내는 단어 'ειμαι'의 첫 글자에서 유래하였다.

러셀은 1903년 저서에서 페아노의 기호를 사용하였는데, 저서가 출판되는 과정에서 'Element'(원소)의 첫 글자비슷하게 인쇄되었다.

(같은 단어)

요소(要素),(元)


{단위}

넓이, 부피 또는 질량의 단위 부분을 합하여 전체의 양을 계산할 때 처음 적분에서 기본이 되는단위

(같은 단어)

05(2)



[철학]

원소
element
4대원소.jpg
주제
어인정
X
길이
2
미션
-

{개요}

만물근원이 되는, 항상 변하지 아니하는 구성요소. 이에 대한 논의로는 그리스 철학의 사원소론, 중국의 오행설, 인도의 사대설(四大說) 따위를 들 수 있다.












[인명]

중국 후한 말기 군웅(群雄)의 한 사람(?~202). 자는 본초(本初). 루양(汝陽) 사람으로, 영제(靈帝)가 죽은 뒤 기주(冀州)를 중심으로 세력을 넓혔다. 건안(建安) 5년(200)에 조조와 대립하여 허난(河南) 관도(官渡) 싸움에서 대패하였다.




[역사]

원소
園所(園寢)
원침.jpg
주제
어인정
X
길이
2
미션
-

{개요}

왕세자세자빈친척등의 산소

(같은 단어)

(園)ㆍ원침침원.







기타

① =원석01(元夕).

② 하늘의 공간.

③ 원망하여 하소연함.

④ 동산과 못을 아울러 이르는 말.

⑤ 억울함을 호소함.

⑥ 불복하여 재심을 청함.

⑦ 원숭이가 욺. 또는 원숭이의 울음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