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요[편집]
주제 <기타>[편집]
사전 | ● |
1품행이 단정한 선비.2아름다운 말이나 글. ‘아름다운 말과 글’, ‘좋은 말글’로 순화.4사람이 사는 집.5(1)살림살이에 관한 일.(2)한 집안의 사사로운 일.7=가령05(假令)「1」.9가곡, 가요, 오페라 따위로 불릴 것을 전제로 하여 쓰인 글. ≒노랫말.11=농사일.12즐겁고 좋은 일. ‘좋은 일’, ‘즐거운 일’로 순화.
|
주제 <역사>[편집]
사전 | ● |
〈역사〉=가신03(家臣)「1」.
|
주제 <의학>[편집]
사전 | ● |
〈의학〉생리적 기능이 약화되어 죽은 것처럼 보이는 상태. 정신을 잃고 호흡과 맥박이 거의 멎은 상태이나, 동공 반사만은 유지되므로 죽은 것이 아니며 인공호흡으로 살려 낼 수 있다.
|
주제 <생물>[편집]
사전 | ● |
〈생물〉일부 벌레들이 위험에 닥쳤을 때 죽은 듯이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있는 것을 이르는 말.
|
주제 <불교>[편집]
사전 | ● |
〈불교〉승려가 장삼 위에, 왼쪽 어깨에서 오른쪽 겨드랑이 밑으로 걸쳐 입는 법의(法衣). 종파에 따라 빛깔과 형식을 엄격히 규정하고 있다. ≒마납(磨衲)ㆍ무구의ㆍ인욕개ㆍ인욕의ㆍ자비옷ㆍ자비의ㆍ전상의ㆍ전의01(田衣)ㆍ탁의01(卓衣)ㆍ해탈당상.
|
주제 <문학>[편집]
사전 | ● |
〈문학〉조선 초기에 나타난, 시가와 산문 중간 형태의 문학. 형식은 주로 4음보의 율문(律文)으로, 3ㆍ4조 또는 4ㆍ4조를 기조로 하며, 행수(行數)에는 제한이 없다. 마지막 행이 시조의 종장과 같은 형식인 것을 정격(正格), 그렇지 않은 것을 변격(變格)이라고 한다.
|
주제 <국가지정문화재>[편집]
가사는 우리나라 전통 성악곡의 한 갈래로, 가사체(산문에 가까운 문체)의 긴 사설(글)을 담은 장편 가요를 일컫는다. 언제 발생되었는지는 정확하지 않으나 여러 가사집의 기록으로 미루어 보아 조선 영조(재위 1724∼1776) 이후부터 불리기 시작했으리라 추측된다.
1971년 1월 8일 지정된 국가무형유산.
주제 <한국 대중음악>[편집]
가사'는 박재정이 데뷔 4년 만에 선보이는 첫 자작곡으로, 사랑하는 사람에게 선물할 곡을 만드는 도중 이별해 결국 엉망이 되어버린 이야기가 담긴 발라드이다.
2018년 8월 4일에 발매된 박재정의 발라드 노래.
가사[편집]
너에게는 내가 없어 마음에도 내가 없어 처음보다 다른 너의 눈에는 다른 사람이 있어 단 한 번도 쓴 적 없어 이거라도 해야 했어 전해 주고픈 마음이 잘 안 가는 사랑이었어 너도 알잖아 우리의 말들을 돌이킬 수 없는 상처 알잖아 그만하자 너 맘대로 해 더 이상은 안 돼 잘 지내 우리 미워하다 너를 후회하다 넌 아직 알지 못해도 어떤 이유였대도 나의 그대이기에 이미 다른 사람이잖아 난 헤어진 사람이잖아 아직도 니 옆에 살고 있는 나 더 다가가지 않아도 내가 주지 못해도 너의 옆엔 그 사람 이런 말도 필요 없잖아 이런 노래 필요 없잖아 그냥 너에게는 내가 없잖아 이 노래 원래 좋게 쓰려고 했어 근데 틀렸어 다 망쳐버렸어 그러다 내 마음에 또 들어오는 널 이해해 하지 말아줘 나를 내버려 둬 그래도 나는 믿고 있을게 결코 잊지 못하는 나의 사람 그대를 내가 외로우면 되잖아 내가 잘 지내면 되잖아 한번 잘해볼 게 내가 바뀔 게 더는 나 표현하지 못 하는 노래 속의 그 가사 나는 너를 사랑해 너는 이 노랠 듣지도 않겠지
특징[편집]
- 가로 시작해서 사로 끝나는 2글자 단어이다.
- 미션 글자 가, 사를 1개 포함하고 있다.
- 훈민정음에서 ㄱㅅ이 나왔을 때 사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