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번째 줄: 1번째 줄:
{{고속열차 및 일반열차}}
+
[[분류:만화/애니메이션]][[분류:한국 교통시설]][[분류:영화]][[분류:국내 관광지/축제]][[분류:서로 시작하는 단어]][[분류:역으로 끝나는 단어]]
 +
{{서울특별시의 교통}}
 
{{단어
 
{{단어
|제목=서울역
+
|원제=首尔站 / Seoul Station
|원제=Seoul Station
+
|이미지=서울역.webp
|주제1=한국 교통시설
+
|이미지 설명=2016년 애니메이션 영화
|주제2=국내 관광지/축제
+
|이미지2=서울역(한국교통시설).jpg
|주제3=만화/애니메이션
+
|이미지 설명2=1900년 철도역
|주제4=영화
+
|주제=만화/애니메이션
|이미지=[[File:Wongwt 首爾火車站 (16942638829).jpg|thumb|Wongwt 首爾火車站 (16942638829)]]
+
|주제2=한국 교통시설
|이미지 설명=철도역
+
|주제3=영화
|이미지2=[[File:Keijo Station.JPG|thumb|Keijo Station]]
+
|주제4=국내 관광지/축제
|이미지 설명2=건립당시 철도역<ref>그 당시에는 경성역이였다. 경성역은 1945년 광복 이후 1947년에 현재의 역명인 서울역으로 개명하였고, 한국 전쟁을 거치며 대한민국의 최대 역으로 발돋움하였다.</ref>
 
|이미지3=서력.jpg
 
|이미지 설명3=2016년 영화
 
|추가 정보=
 
{{단어/추가 정보/한국 교통시설/지하철역
 
|호선<ref>지하철 노선만 등록하였다. </ref>=1호선([[경부선]]), 4호선, 경의중앙선, 공항철도
 
|개업일=1974년 8월 15일<ref>1호선 개업일이다. 경부선 개업일은 1900년 7월 8일이다.</ref>
 
|주소=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지하 2 (남대문로5가 74번지)<ref>1호선 지하역 주소이다. 경부선 주소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405 (동자동 18번지)이다.</ref>
 
|역 번호=133 <ref>1호선 역 번호</ref>, 426 <ref>4호선 역 번호</ref>, P313 <ref>경의중앙선 역 번호</ref>, A01 <ref>공항철도 역 번호</ref>
 
|운영 기관=코레일, 서울교통공사, A'REX, SR<ref>추후 GTX-A노선이 들어서면 서울교통공사와 같이 운영할 예정이다.</ref>
 
|환승 여부=O
 
 
}}
 
}}
}}
 
 
 
{{목차}}
 
{{목차}}
 +
== 개요 ==
  
==개요==
+
=== 주제 <만화/애니메이션>, <영화> ===
=== 주제 <한국 교통시설, 국내 관광지> ===
+
<youtube>B6EZycjTHgo</youtube>
서울특별시의 중앙역. 서울특별시 중구, 용산구의 경계에 위치한다. 간선철도 경부선, [[경의선]]과 [[인천국제공항철도]]의 기점이자 [[수도권전철1호선]] [[경부선]] 구간과 [[수도권 철경의중앙선]]]의 기점이며 [[수도권전철4호선]]이 지나간다. [[경부선]]이 철도의 대동맥이라면 이곳은 대한민국 철도의 심장이다. 추후 신안산선과 GTX-A노선, 그리고 GTX-B노선이 들어설 예정이다. <br>
+
{{인용문
 +
| 거리를 떠도는 가출 소녀와 남자 친구, 그리고 집 나간 딸을 찾아다니는 아버지. 때마침 서울역에선 좀비가 발생하고, 지옥이 된 도시를 헤매는 이들의 종착역은 어디인가
 +
}}
 +
2016년 7월 20일 개봉한 영화 《부산행》의 프리퀄 애니메이션.
  
====철도거리표====
+
=== 주제 <한국 교통시설>, <국내 관광지/축제> ===
=====수도권 전철=====
+
{{인용문
{|class="wikitable" align="center" style="text-align:center;"
+
| 유라시아 철도허브를 향해 날아오르다
|-
+
}}
| [[소요산역|소요산]] [[연천역|연천]]<ref>2023년에 [[수도권전철1호선]]이 [[연천역]]방면으로 [[초성리역]]과 [[전곡역]]이 개통한다.</ref> 방면<br>[[시청역|시청]]
+
간선철도 경부선, 경의선과 인천국제공항철도의 기점이자 수도권 전철 1호선 경부선 구간과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기점이며 수도권 전철 4호선이 지나가는 중추역의 기능을 한다.
! '''← 1.1 ㎞
 
| {{글씨 색|#0052A4|1호선<br>(133 지하서울역<ref>일부열차는 지상승강장에 정차한다.</ref>)}}{{글씨 색|red|<br>(경부선급행 A, 경부선급행 B정차)}}
 
! '''1.7 ㎞ →'''
 
| [[인천역|인천]] [[서동탄역|서동탄]] [[신창역|신창]] 방면<br>[[남영역|남영]]
 
|}
 
 
 
{|class="wikitable" align="center" style="text-align:center;"
 
|-
 
| [[진접역|진접]] 방면<br>[[회현역|회현]]
 
! '''← 0.9 ㎞
 
| {{글씨 색|#00A5DE|4호선<br>(426 지하서울역)}}{{글씨 색|red|<br>(4호선 급행정차)}}
 
! '''1.0 ㎞ →'''
 
| [[오이도역|오이도]] 방면<br>[[숙대입구역|숙대입구]]
 
|}
 
 
 
{|class="wikitable" align="center" style="text-align:center;"
 
|-
 
| [[인천공항2터미널역|인천공항2터미널]] 방면<br>[[공덕역|공덕]]
 
! '''← 3.3 ㎞
 
| {{글씨 색|#0090D2|공항철도<br>(A01 서울역)}}{{글씨 색|red|<br>(공항철도 직통열차정차<ref>공항철도 직통열차는 [[인천공항2터미널역]]과 [[인천공항1터미널역]], 그리고 서울역만 운행한다.</ref>)}}
 
!
 
| {{글씨 색|#CCCCCC|시종착}}
 
|}
 
 
 
{|class="wikitable" align="center" style="text-align:center;"
 
|-
 
| [[문산역|문산]] [[임진강역|임진강]]<ref>[[임진강역]]이나 [[도라산역]]을 가기 위해서는 [[문산역]]에서 출발하는 열차를 타야한다. 즉, 서울역에서 바로 [[임진강역]]이나 [[도라산역]]을 갈수 없다.</ref> 방면<br>[[신촌역|신촌]]
 
! '''← 3.1 ㎞
 
| {{글씨 색|#77C4A3|경의중앙선<br>(P313 서울역)}}{{글씨 색|red|<br>(경의선 급행열차 정차}}
 
!
 
| {{글씨 색|#CCCCCC|시종착}}
 
|}
 
 
 
=====고속철도, 일반열차=====
 
{|class="wikitable" align="center" style="text-align:center;"
 
|-
 
| [[행신역|행신]] 방면<br>[[행신역|행신]]
 
! '''← 14.9 ㎞
 
| {{글씨 색|#204080|경부선<br>KTX}}
 
! '''22.0 ㎞ →'''
 
| [[부산역|부산]] 방면<br>[[광명역|광명]]
 
|}
 
 
 
{|class="wikitable" align="center" style="text-align:center;"
 
|-
 
| {{글씨 색|#CCCCCC|시종착}}
 
!
 
| {{글씨 색|#204080|경부선<br>KTX<br>수원경유열차}}
 
! '''9.1 ㎞ →'''
 
| [[부산역|부산]] 방면<br>[[영등포역|영등포]]
 
|}
 
 
 
{|class="wikitable" align="center" style="text-align:center;"
 
|-
 
| [[행신역|행신]] 방면<br>[[행신역|행신]]
 
! '''← 14.9 ㎞
 
| {{글씨 색|#204080|경전선<br>KTX}}
 
! '''22.0 ㎞ →'''
 
| [[진주역|진주]] 방면<br>[[광명역|광명]]
 
|}
 
 
 
{|class="wikitable" align="center" style="text-align:center;"
 
|-
 
| [[행신역|행신]] 방면<br>[[행신역|행신]]
 
! '''← 14.9 ㎞
 
| {{글씨 색|#204080|동해선<br>KTX}}
 
! '''22.0 ㎞ →'''
 
| [[포항역|포항]] 방면<br>[[광명역|광명]]
 
|}
 
 
 
{|class="wikitable" align="center" style="text-align:center;"
 
|-
 
| [[행신역|행신]] 방면<br>[[행신역|행신]]
 
! '''← 14.9 ㎞
 
| {{글씨 색|#204080|호남선<br>KTX}}
 
! '''3.2 ㎞ →'''
 
| [[목포역|목포]] 방면<br>[[용산역|용산]]
 
|}
 
 
 
{|class="wikitable" align="center" style="text-align:center;"
 
|-
 
| [[행신역|행신]] 방면<br>[[행신역|행신]]
 
! '''← 14.9 ㎞
 
| {{글씨 색|#204080|전라선<br>KTX}}
 
! '''3.2 ㎞ →'''
 
| [[여수엑스포역|여수엑스포]] 방면<br>[[용산역|용산]]
 
|}
 
 
 
{|class="wikitable" align="center" style="text-align:center;"
 
|-
 
| [[행신역|행신]] 방면<br>[[행신역|행신]]
 
! '''← 14.9 ㎞
 
| {{글씨 색|#204080|강릉선<br>KTX}}
 
! '''15.9 ㎞ →'''
 
| [[강릉역|강릉]] [[동해역|동해]] 방면<br>[[청량리역|청량리]]
 
|}
 
 
 
{|class="wikitable" align="center" style="text-align:center;"
 
|-
 
| {{글씨 색|#CCCCCC|시종착}}
 
!
 
| {{글씨 색|#C30E2F|경부선, 경전선<br>ITX-새마을}}
 
! '''9.1 ㎞ →'''
 
| [[부산역|부산]] [[신해운대역|신해운대]] [[진주역|진주]] 방면<br>[[영등포역|영등포]]
 
|}
 
 
 
{|class="wikitable" align="center" style="text-align:center;"
 
|-
 
| {{글씨 색|#CCCCCC|시종착}}
 
!
 
| {{글씨 색|#E06040|경부선, 충북선<br>무궁화호}}
 
! '''9.1 ㎞ →'''
 
| [[부산역|부산]] [[제천역|제천]] 방면<br>[[영등포역|영등포]]
 
|}
 
 
 
{|class="wikitable" align="center" style="text-align:center;"
 
|-
 
| {{글씨 색|#CCCCCC|시종착}}
 
!
 
| {{글씨 색|#074286|S-train<ref>남도해양관광열차이며 2013년에 운행을 시작하였다.</ref>}}
 
! '''9.1 ㎞ →'''
 
| [[여수엑스포역|여수엑스포]] 방면<br>[[영등포역|영등포]]
 
|}
 
 
 
====일평균이용객====
 
=====수도권전철=====
 
*더 정확한 정보는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자
 
[http://www.seoulmetro.co.kr/kr/board.do?menuIdx=548 1호선, 4호선 통계]
 
[https://info.korail.com/info/selectBbsNttList.do?bbsNo=425&key=867 경의중앙선 통계]
 
[http://data.seoul.go.kr/dataList/OA-12252/S/1/datasetView.do;jsessionid=1B76CD732CD0C87E1D1BCE56D7175359.new_portal-svr-21 공항철도 통계]
 
 
 
2014년이 221,364명으로 이용객이 가장많았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발생이후 이용객이 11만명으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고속철도, 일반열차=====
 
*더 정확한 정보는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자
 
[https://info.korail.com/info/index.do 철도통계연보]
 
 
 
2019년에 '''10만명을 돌파'''하면서 이용객이 가장 많았다.<ref>2017년에는 수서역의 개통 영향으로 수요가 분산되어 다소 이용객이 감소했으나 2019년에 강릉선 KTX의 영향으로 서울역이 대한민국 철도 역사상 최초로 일반열차로만 10만 이용객을 찍는 쾌거를 기록했다.</ref> 그러나 2020년에는 갑자기 반으로 줄었다. <ref>59,647명</ref>
 
 
 
====도심공항터미널====
 
{{다른 뜻|설명=서울역도심공항터미널|문서=코레일공항철도서울역도심공항터미널}}
 
서울역 지하2층에 [[서울역도심공항터미널]]이 위치해있다. 이용가능한 항공사는 다음과 같다. <br>
 
*'''[[대한항공]]''' (KE)
 
*'''[[아시아나항공]]''' (OZ)
 
*'''[[제주항공]]''' (7C)
 
*'''[[티웨이항공]]''' (TW)
 
*'''[[진에어]]''' (LJ)
 
 
 
탑승수속을 마친 국제선 승객은 인천국제공항 대한민국 법무부 출입국관리사무소에서 출국심사를 받을 수 있다. 도심공항 출국심사 후 사정변경으로 출국하지 못하는 경우 당일 인천공항 출입국관리사무소 또는 도심공항출장소에 신고하여 반드시 여권상 출국심사인을 취소하는 등 조치를 취해야 한다. <br>
 
 
 
 
 
출국심사는 07:00~19:00까지만 가능하며 그 이전에 도심공항을 이용하는 경우 출국심사가 불가능하다.
 
 
 
 
 
=== 주제 <만화/애니메이션, 영화>===
 
2016년 8월 17일 스튜디오 다다쇼에서 제작하고 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에서 배급하여 개봉한 [[영화]] 중 하나이다.
 
 
 
==특징==
 
'''서'''로 시작해서 '''역'''으로 끝나는 3글자 단어이다.
 
  
[[분류:한국 교통시설]] [[분류:국내 관광지/축제]] [[분류:만화/애니메이션]] [[분류:영화]] [[분류:서로 시작하는 단어]] [[분류:역으로 끝나는 단어]]
+
== 특징 ==
 +
* '''서'''로 시작하면서 '''역'''으로 끝나는 3글자 단어이다.

2024년 1월 30일 (화) 22:00 기준 최신판

서울특별시의 교통
철도 노선 경부선 · 경원선 · 경의선 · 중앙선 · 경춘선 · 경인선 · 인천국제공항철도
수도권 전철 1호선 · 2호선 · 3호선 · 4호선 · 5호선 · 6호선 · 7호선 · 8호선 · 9호선 · 우이신설선 · 경의·중앙선 · 수인·분당선 · 경춘선 · 신분당선 · 공항철도
서울역 · 용산역 · 영등포역 · 청량리역 · 수서역 · 상봉역 · 왕십리역 · 옥수역
철도 교량 동작대교 · 동호대교 · 청담대교 · 잠실철교 · 한강철교
고속도로 경부 · 서해안 · 평택파주 · 세종포천 · 서울양양 · 수도권제1순환 · 경인 · 인천국제공항 · 용인서울
시내간선도로 올림픽대로 · 강변북로 · 동부간선도로 · 서부간선도로 · 내부순환로 · 남부순환로
도로 교량 가양대교 · 강동대교 · 구리암사대교 · 동작대교 · 동호대교 · 마포대교 · 반포대교 · 잠수교 · 방화대교 · 서강대교 · 성산대교 · 성수대교 · 양화대교 · 영동대교 · 올림픽대교 · 원효대교 · 잠실대교 · 천호대교 · 청담대교 · 한강대교 · 한남대교 · 행주대교 · 광진교 · 월드컵대교
고개 미아리고개 · 망우리고개
고속·시외버스 서울 · 센트럴시티 · 동서울 · 상봉 · 서울남부 · 김포공항 · 가락시장역 · 잠실역 · 장지역
공항 김포국제공항
서울역
首尔站 / Seoul Station
주제
어인정
O
길이
3
미션
-

개요[편집]

주제 <만화/애니메이션>, <영화>[편집]

거리를 떠도는 가출 소녀와 남자 친구, 그리고 집 나간 딸을 찾아다니는 아버지. 때마침 서울역에선 좀비가 발생하고, 지옥이 된 도시를 헤매는 이들의 종착역은 어디인가

2016년 7월 20일 개봉한 영화 《부산행》의 프리퀄 애니메이션.

주제 <한국 교통시설>, <국내 관광지/축제>[편집]

유라시아 철도허브를 향해 날아오르다

간선철도 경부선, 경의선과 인천국제공항철도의 기점이자 수도권 전철 1호선 경부선 구간과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기점이며 수도권 전철 4호선이 지나가는 중추역의 기능을 한다.

특징[편집]

  • 로 시작하면서 으로 끝나는 3글자 단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