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지금니대방광불화엄경보현행원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4번째 줄: 4번째 줄:
 
|이미지=감지금니대.jpeg
 
|이미지=감지금니대.jpeg
 
|주제=불교
 
|주제=불교
|어인정=O
 
|길이=16
 
 
}}
 
}}
 
+
{{목차}}
== '''개요''' ==
+
== 개요 ==
 
{{인게임 뜻
 
{{인게임 뜻
 
|뜻={{인게임 뜻/주제|불교}}고려 말기에, 감색의 종이에 금물로 쓴 화엄경. 당나라 반야(般若)가 한역한 보현행원품으로, 삼중대광(三重大匡) 영인군(寧仁君) 이야선불화(李也先不花)의 무병장수와 일가친척의 평온을 빌기 위하여 사경(寫經)한 금강경, 장수경, 미타경, 부모은중경, 보현행원품 가운데 하나이다. 국보 제235호.
 
|뜻={{인게임 뜻/주제|불교}}고려 말기에, 감색의 종이에 금물로 쓴 화엄경. 당나라 반야(般若)가 한역한 보현행원품으로, 삼중대광(三重大匡) 영인군(寧仁君) 이야선불화(李也先不花)의 무병장수와 일가친척의 평온을 빌기 위하여 사경(寫經)한 금강경, 장수경, 미타경, 부모은중경, 보현행원품 가운데 하나이다. 국보 제235호.
14번째 줄: 12번째 줄:
  
 
== 특징 ==
 
== 특징 ==
* 감으로 시작하는 단어 중 제일 긴 단어이다.
+
* 감으로 시작하는 단어 중 제일 긴 단어 중 하나이다.
  
 
[[분류:불교]][[분류:감으로 시작하는 단어]][[분류:품으로 끝나는 단어]]
 
[[분류:불교]][[분류:감으로 시작하는 단어]][[분류:품으로 끝나는 단어]]

2020년 4월 29일 (수) 01:01 판

감지금니대방광불화엄경보현행원품
紺紙金泥大方廣佛華嚴經普賢行願品
파일:감지금니대.jpeg
주제
어인정
X
길이
16
미션
-

개요

사전
〈불교〉고려 말기에, 감색의 종이에 금물로 쓴 화엄경. 당나라 반야(般若)가 한역한 보현행원품으로, 삼중대광(三重大匡) 영인군(寧仁君) 이야선불화(李也先不花)의 무병장수와 일가친척의 평온을 빌기 위하여 사경(寫經)한 금강경, 장수경, 미타경, 부모은중경, 보현행원품 가운데 하나이다. 국보 제235호.

특징

  • 감으로 시작하는 단어 중 제일 긴 단어 중 하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