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
訓民正音 / Hunminjeongeum
Hunminjeongum.jpg
주제
어인정
X
길이
4
미션
-
국가지정문화재 정보
분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관판본
수량
1책
지정일
1962년 12월 20일
소재지
서울 성북구 성북로 102-11 (성북동, 간송미술관)
시대
1446년
관리자
간송미술관

개요[편집]

주제 <언어>[편집]

사전
1(1) 〈언어〉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으로, 1443년에 세종이 창제한 우리나라 글자를 이르는 말. ≒정음02(正音)「1」.

주제 <책명>[편집]

사전
(2) 〈책명〉조선 세종 28년(1446)에 훈민정음 28자를 세상에 반포할 때에 찍어 낸 판각 원본. 세종이 훈민정음 창제의 취지를 밝힌 어제 서문(御製序文), 자음자와 모음자의 음가와 운용 방법을 설명한 예의(例義), 훈민정음을 해설한 해례, 정인지 서(序)로 되어 있다. 1997년에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국보 제70호. ≒정음02(正音)「2」해례「3」해례본훈민정음해례「2」훈민정음해례본.

주제 <끄투코리아>[편집]

주어진 초성에 맞는 한국어 어휘를 댑니다.

끄투코리아에 존재하는 게임 유형 중 하나이다.

주제 <국가지정문화재>[편집]

1446년, 조선시대에 집현전 학자들과 세종대왕이 만들어 반포한 한문해설서이다. 1962년 대한민국국보로 지정되었다. 훈민정음의 의미는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 라는 뜻이다.

이 책은 새로 창제된 훈민정음을 왕의 명령으로 정인지 등 집현전 학사들이 중심이 되어 세종 28년(1446)에 만든 한문해설서이다. 책이름을 글자이름인 훈민정음과 똑같이 ‘훈민정음’이라고도 하고, 해례가 붙어 있어서 ‘훈민정음 해례본’또는 ‘훈민정음 원본’이라고도 한다. 전권 33장 1책의 목판본이나, 앞 2장은 1940년경에 복원된 부분이다.

구성을 보면 총 33장 3부로 나누어, 제1부는 훈민정음의 본문을 4장 7면으로 하여 면마다 7행 11자씩, 제2부는 훈민정음해례를 26장 51면 3행으로 하여 면마다 8행 13자씩, 제3부는 정인지의 서문을 3장 6면에 1자 내려싣고, 그 끝에 ‘정통 11년’(1446)이라 명시하고 있다.

세종실록』에 의하면 훈민정음세종 25년(1443)에 왕이 직접 만들었으며, 세종 28년(1446)에 반포한 것으로 되어있는데, 이 책에서 서문과 함께 정인지가 근작(謹作)하였다는 해례를 비로소 알게 되었다. 또한 한글의 제작원리도 확연하게 드러났다.

- 문화재청 설명

주제 <유네스코 유산>[편집]

대한민국 세계기록유산
문화유산
1997년
『조선왕조실록』
1997년
『훈민정음(해례본)』
2001년
『불조직지심체요절』
2001년
『승정원일기』
2007년
조선왕조『의궤』
2007년
고려대장경판 및 제경판
2009년
동의보감
2011년
일성록
2011년
1980년 인권기록유산 5·18 광주 민주화운동 기록물
2013년
난중일기: 이순신 장군의 진중일기
2013년
새마을운동 기록물
2015년
KBS특별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기록물
2015년
한국의 유교책판
2017년
조선통신사에 관한 기록 – 17세기~19세기 한일 간 평화구축과 문화교류의 역사
2017년
조선왕실 어보와 어책
2017년
국채보상운동 기록물
2023년
4•19혁명기록물
2023년
동학농민혁명 기록물

1446년 음력 9월에 반포된 훈민정음(訓民正音) 판본에는 1443년에 창제된 한국의 문자 한글을 공표하는 조선왕조 제4대 임금 세종대왕(재위 1418-1450)의 반포문(頒布文)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정인지(鄭麟趾) 등 집현전 학자들이 해설과 용례를 덧붙여 쓴 해설서 해례본(解例本)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 판본을 『훈민정음 해례본』이라 하며, 간송 미술관에 보관되어 있다.

- 유네스코 요약

1997년 등재된 대한민국유네스코 유산이다.

특징[편집]

  • 네 글자 단어 중 하나이다.